예일 오픈 코스 보던 시절에 

보면 이해 가능한 강의들 말고 물리학 같은 것도 열어봤었다. 

1강 시작하고 바로, 뜻밖에 웃음 터지게 했던 물리학 교수, 라마무티 샹카르. Ramamurthi Shankar. 퍼스트네임이 사람들이 알아보기 힘들 것이니 아마 라스트네임 위주로 사시나 봄. 예일 패컬티 페이지에 R. Shankar 로 나와 있다. 


2분 근방. 

"양자역학은 전혀 다른 무엇이죠. force, 혹은 trajectory 같은 것들이 여기서 적용이 되긴 하는가. 이런 질문들이 제기되는 영역. 양자역학은 분자나 원자같은 아주 작은 것들에 적용됩니다. 그럼 나올 중요한 질문은, 얼마나 작아야 충분히 작은가겠죠. 누군가 내게, 인간 두뇌도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느냐는 질문을 한 적 있습니다. 충분히 작다면 할 수 있다: 이게 답이죠. 그리고 난 파티에 갔는데, 몇 분 동안 누구와 얘길 하다가 아 이 사람 두뇌에 양자역학적 접근을 해야겠다...." 


이 대목에서 어찌나 웃기던지, 

웃으며 순간 고양되던 그 기분이 행복한 추억으로 남았을 지경.  


이 수업 말고 다른 아마 일반교양 물리학 수업에서는, 

"물리학이 삶에 무슨 도움이 되느냐, 여러분은 지금 자문하고 있을 겁니다. 

여러분 중엔 의사가 될 사람도 있겠죠. 여러분이 의사가 되었는데, 여러분 환자가 어느 날.... 빛의 속도로 여러분을 피하는 경우..."  


그 때도 참 웃겼다. 강의실 학생들도 "일동 웃음". 

at the speed of light. 이 말을 쓰고 사람들을 웃게 한 사례 top 10. 이런 걸 누가 모아주면 3위 정도는 하지 않을까?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qualia 2016-07-04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위에서 “인간 두뇌도 양자역학으로 설명할 수 있느냐”는 질문은 적어도 두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고 봅니다. ⑴ 하나의 해석은 약 1.3~1.5킬로그램이나 되는 인간 두뇌 전체를 과연 양자역학적 대상으로 볼 수 있겠느냐 하는 것이죠. 즉 두뇌라는 거시적 대상을 양자역학적 미시적 설명 도구나 틀로 설명할 수 있겠느냐 하는 질문이라는 것입니다. ⑵ 또 다른 해석은 인간 두뇌라는 한 물리적 덩어리 전체를 대상으로 하지 않고, 두뇌를 이루는 신경세포/뉴런, 시냅스, 미세소관 따위로 내려가서 이들 구성요소들이 보일지도 모를 양자역학적 현상이나 작동 기제를 탐구해 두뇌의 비밀이나 의식의 수수께끼를 밝혀낼 수 있겠느냐 하는 질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zauberberg’ 님께서 위에 정리해놓은 글에 따르자면, Ramamurti Shankar 교수는 단순히 ⑴번과 같은 유형의 물음으로 받아들인 것 같습니다. 이런 해석은 재미난 웃음을 유발할 수 있긴 합니다. 하지만 뇌과학자나 신경과학자, 인지과학자들한테는 그닥 별 도움이 안 되는 물음이죠.

반면에 ⑵번과 같은 해석의 질문은 실제로 뇌과학/신경과학/인지과학 등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질문이죠. 요즘 들어서 이런 물음에 답하려는 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아주 중요한 과학적/철학적 과제이니까요. 해서 이런 차원으로 Ramamurti Shankar 교수가 저 질문을 받아들였더라면 더 재밌고 더 의미 있는(?) 얘기를 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오늘 일찍 제가 알라딘 블로거 윙헤드(winghead)라는 분의 글 「문과에게 인공지능이란...」(http://blog.aladin.co.kr/winghead/8601125)을 읽고 댓글을 하나 달았었는데요. 그 댓글에서 뇌의 양자역학적 연구에 대해 짧게나마 얘기했었거든요. 그런데 또 zauberberg 님 글에서 양자역학과 뇌라는 재밌는 얘기를 마주친 거지 뭐예요. 그래서 이렇게 댓글 올리게 됐네요~ ^^

몰리 2016-07-04 19:02   좋아요 1 | URL
아 댓글, 그것도 자세히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실은 여기 쓰느라 다시 보면서, 이게 순간적으로 미친 듯 웃길 수 있는 농담이긴 한데, 돌아가 따져보면 좋은 농담은 아니구나는 생각을 했습니다. 적어주신 내용과 같은 (제가 이렇게 정리할 수는 없었겠지만요) 이유에서요. 아마 나같은 사람에게만 웃겼을 수도 있(그러기엔 학생들도 와르르... 뒤집어지긴 합니다 ^^)다고, 이게 실은 말이 좀 안되는 것 같다고, 포스트에 추가하려다가 에고 사소한 옛기억의 기록일 뿐이라며, 말았습니다.

그런가 하면 Shankar 교수가 쓴 문장을 원문으로 보면,
˝Okay, this person needs a fully quantum mechanical treatment.˝ 이렇게 말하는데요.
이 문장에서 fully, 그리고 treatment란 두 단어 때문에, 그가 저 질문을 (1)번의 뜻으로 제시하는 (그렇게 제시하고 있음에도) 때의 그 무리함... 이 꽤 약해진단 생각이 듭니다. 심지어 그가 질문을 (2)번의 뜻으로도 제시한다 봐도 되겠다 한편으론 --> 이런 우호적 해석;;;;도 가능할만큼 그 무리함을 약화시키는 것 같습니다. treatment는 치료, 혹은 시술. ˝(문제의) 접근˝ 이런 뜻으론 거의 쓰지 않으니까요. fully, 는 그게 이 문장 속에 있다는 그 자체로 오히려 모호성을 증폭하고.

자기 저 (웃자고 한) 문장을 진지하게 누가 생각하고 있다는 걸 알면 Shankar 교수 기뻐하겠네요 ㅎㅎ 근데 원문으로 보면, 완전히 무너지는 농담은 아닌 것 같아 보이니까, 이 농담 어휘 선택에서 그가 절묘했던 게 맞다면, 샹카르 교수 천재! : 이러게 되네요.

자기가 학생들을 잘 웃긴다는 데에 자부심이 엄청난 분 같더라고요. 학생들이 웃으면, 잠시 서서 보여주는 표정이 있어요 아주 깊이 흐뭇해하는. 이 분 강의들을 더 보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