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폴레옹 전기. 영어로는 2014년 나온 앤드류 로버츠의 전기도 호평 받고 화제였다. 


랑프리의 나폴레옹 전기엔 다루는 인물들의 심리도 있지만 랑프리 자신의 심리도 여러 페이지들에서 볼 수 있는데, 영어권 전기 작가들과 비교할 때 프랑스 전기 저자들이 보여주는 차이 하나가 여기 있지 않나 생각한다. 랑프리는 거침없이 인물들을 경멸하고 혹은 찬탄하고 애도하고 ... 평가하고 판단한다. 영어권에서 나온 전기인데 그러는 저자는, 나는 본 적이 아직 없다. 아마 정도의 차이일 것이긴 하다. 랑프리는 진정 "거침없이," 그러는 것이 전기 작가의 의무이자 특권인 것처럼, 그러는 데 반해, 영어권의 전기 작가들은 보통은 자기 감정을 표현하는 걸 조심한다는. 


테르미도르 반동 이후 총재 정부의 부패, 나약함에 대해서 비판적인데 특히 총재 정부를 이끌었던 폴 바라스는, 참으로 차갑고 파괴적인 경멸의 대상이 된다. 


나폴레옹도 랑프리에게 경멸의 대상인데 (나폴레옹은 그에게 "charlatan"이다. 그의 언어, 그의 행적의 거의 전부가 그의 "charlatanism"의 증거) 나폴레옹은 그걸 "위대함"으로 볼 것이냐 아니냐가 아직도 합의가 되지 않은 거겠지만 하튼 행적들의 스케일이 압도적이다 보니 저자가 그에게 던지는 이 지속적으로 차갑고 파괴적인 경멸을, 그걸 다 이기고, 살아 나온다. 나폴레옹은 심지어는 이렇게도 레전드가 되는구나. 같은 경탄이 일 수도. 




이 전기에 뜻밖의 한숨이 나게 하는 대목들이 적지 않게 있는데, 마치 히틀러의 전기처럼 읽히는 대목들. 

랑프리는 모르고 죽었지. 1차 대전과 2차 대전을. : 이걸 일부러 기억하게 된다. 인간의 수명이 2백년쯤 된다면, 그는 2차대전 후 히틀러와 나폴레옹을 비교하는 작업을 했을 것이다. 


전기 작가에게, 학자에게, 자기 감정을 거침없이 표현하는 것이 의무이자 특권이 되게 하기. 랑프리 전기 읽으면서, 이럴 수 있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인간 경험의 전모에 열려 있기. 이게 역사학자에게 (인문학자에게) 의무이자 특권이라면, 자신의 감정의 전모에 열려있기가 그 의무이자 특권의 일부를 구성함. 백년 후의 인문학에서는 그럴지 모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cott 2022-12-17 00:4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런 전기물도 정말 좋아하는데
일대기 드라마도 넘 재밌게 봤습니다
제 절친이 레옹 여름별장 있는 도시 살아서 그 지역 방송은 늦은 시각부터 레옹 일대기만 방영을 😃

몰리 2022-12-17 04:47   좋아요 1 | URL
나폴레옹. 아 정말 뭐랄까, 아무 선입견 없이 알게 되고 접근한다 해도 결국 어느 정도는 (아주 미미하게일지라도) 숭배하게 되는 인물이 아닌가 해요. 유럽 근현대사에서 다루기 어려운 인물 top 10 선정하라면 다수가 나폴레옹을 1위에 둘지도. 발자크도 나폴레옹을 숭배했고. 그 숭배가 이해가 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