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도르노는 칸트를 가혹하게 비판하기도 하고 최상급 칭송을 하기도 한다.  

어느 강의에서는 그의 시대 난점들을 온전히 파악하고 반응했다는 게 칸트의 "천재성"이라면서, 달리 말하면 칸트는 그가 아는 것 이상을 알았다고 한다. 천재성이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아는 것. 


그렇게 칸트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알 수 있었던 이유는 

그에게 "강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그의 경험이 하도 강했던 나머지, 그는 실제 그의 인식 너머로 갈 수 있었다. 



아도르노의 말들이 저렇게 압축적, 우회적이어서 뭐라 즉각 대꾸하기가 어렵긴 한데 

나는 저 말들이 아주 맞는 말인 거 같다. 천재성이란 자기가 아는 것 이상을 아는 것. 그리고 그것은 "강한 경험"에서 온다. 소설이나 아니면 철학이나, 어디서나 있지 않나. 자기가 아는 것 안에 머무는 저자들과 그렇지 않은 저자들. 돌파력이 약하거나 아니면 강하거나. 



만일 아도르노가 말하는 방식 "천재성"이 한국에서는 나오기 힘들다면 (그러니까,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서 말입니다...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서 덜 나오는 거 같다면.... ) 중요한 한 이유는 "강한 경험"이라는 것이 사회적으로 차단, 제거, 억압되기 때문이라 생각하게 된다. 강한 경험이라는 건, 어쨌든 그 시작은 약자의 경험, 미세한 경험, 비주류의 경험일 거라서. 강한 경험이 될 수 있을 경험들이 제대로 뿌리를 내리지 못함. 허약하게 존재함.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얄라알라 2022-02-15 20:47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반가우세요. 몰리님 페이퍼를 오랜만에 읽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했다면, 항상 교육에 대한 문제의식과 몰리님의 철학을 느끼게 됩니다^^

2022-02-15 20:4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08: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08:2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2: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6: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2-16 17:52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