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로터다이크가 한국을 언급하는 인터뷰도 있다. 

06년이던가 아무튼 그가 방한했던 해. 방한하고 얼마 후 있었던 인터뷰. 

"한국은 역동적인 나라라는 인상을 받았다. 집단 자본주의가 살아 있었다" : 먼저 이런 말을 한다. 

collective capitalism. 집단 자본주의. (...) 이거 여기서 처음 보는데, 원래 있는 말입니까? 

이거 욕인 거 같은데요? 만인이 만인에게 자본주의 하는 곳이라는 뜻일까요.  


이어서 그가 하던 말은 

"우리는 우리가 유럽에서 태어났다는 게 얼마나 행운인가 알아야 한다." 


욕인 게 맞군요. 

(지금 해당 페이지를 찾아볼 여력은 없어서, 대강 말하자면) 이어서 그는, 유럽에서 태어나면 어려움 없이 

갖게 되는 관점, 가치들이 무엇인가 말했던 거 같다. 


그러니까 

한국인들은 맹목적으로 산다, 우리는 생각하면서 산다... 

우리는 그러고 싶지 않아도 생각한다. : 이런 얘기였다고 해석해도 틀린 게 아닌 말들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오늘 그런 생각이 들긴 했다. 

태어나 보니 내 나라의 중요한 철학자가 헤겔이다. 이건 어떤 걸까. 

헤겔 독자였던 어머니를 기억하던 월터 카우프만의 헌사와 서문. <헤겔: 재해석> 이런 제목 책에서 카우프만은: 


"나의 어머니에게.

1914년 <정신현상학>을 읽으셨던 어머니,

내게 주셨던 어머니 소장 <정신현상학>을 대신해 이 책을 드린다." 이런 헌사를 쓰고 서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문장들을 쓴다. 


"내 어린 시절, 베를린 우리집의 거실 구석에 네모지고 녹색 타일을 붙인 화덕이 있었는데, 화덕과 닿은 벽 위에 칸트 초상화가 걸려 있었다. 실제로 쓴 적은 없는 화덕은 장식장처럼 쓰였고, 거기 17세기판 성서, 피히테와 헤겔의 초상화들이 놓여 있었다. 어찌 보면 나는 네살때부터 헤겔과 같이 살았던 셈이다.

 

피히테 초상 옆의 벽은 벽 전체가 책장이었고, 레싱부터 현대까지 독일 문학으로 가득 차 있었다. 이 벽과 맞은 편, 헤겔의 얼굴을 마주 보는 벽에, 철학 서가가 있었다. 우리집엔 칸트의 "전집"이 있었고 다는 아니지만 니체의 저작들도 많이 있었는데, 그런데 헤겔은 몇 권 되지 않았다. 헤겔의 저작들을 내가 진지하게 읽기 시작한 건 대학원에 들어가서다."


헤겔. 니체. 이런 저자들이 내 모국어로 쓴 저자들이다. 

이게 프리미엄이긴 하다... ;;;; 같은 생각이 오늘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1-02-24 0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행운은 부러워해야 마땅하다!

몰리 2021-02-24 12:25   좋아요 0 | URL
언제 우리 한국인으로 태어남의 불행 ;;;;; 을 과격하게 말해 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