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라면 그들처럼 - 아이를 1% 인재로 키운 평범한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법
김민태 지음 / 21세기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곰돌군의 존재를 알고 난 이후로 저의 가장 큰 바람은 곰돌군의 건강과 행복이었습니다. 물론 공부 쪽을 떠올리지 않은 건 아니지만, 직장도 직장인 데다, 우리가 생활하는 이 사회에서 더 이상 공부로 행복해질 수 있는 경우가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곰돌군이 태어난 후 몇 번 아파서 고생한 것을 지켜보다보니 다 부질 없다, 그냥 건강하게 튼튼하게 행복하게만 지내면 된다는 마음이 강해졌죠. 그런데 행복하려면 어떻게, 무엇을 알려줘야 하는지 막막하더라고요. 얼마 전 박웅현 작가님의 [여덟 단어]에서 자존감이란 단어를 얻은 후 이 단어 하나 마음속에 넣어두었는데요, 큰 욕심을 가지지 말자고 다짐한 초심을 잊은 건 아니지만, 저도 엄마인지라 다른 부모들은 어떻게 아이들을 키웠는지 궁금할 수밖에 없었어요.

 

[부모라면 그들처럼] 앞에 아이를 1% 인재로 키운 평범한 부모들의 특별한 교육법이란 문구가 붙어 있어요.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저는 우리 곰돌군을 1% 인재로 키울 생각은 없습니다. 특별한 아이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도 없어요. 다만, 곰돌군이 앞으로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 있어 필요한 자신만의 무언가를 찾기를 바라는 마음만은 간절합니다. 그래서 이 책도 관심을 가지고 읽게 되었어요. 이 책은 영재 프로젝트, 같은 그런 교육법이 실려 있지 않습니다. 부모의 말과 심리가 아이에게 미치는 영향, 어떤 행동이 아이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어떤 눈빛이 아이를 위축되게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유명 인물들의 부모를 예로 들어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아이의 무한 잠재력을 깨우는 3가지 심리욕구, 호기심과 경험이 잠재력을 깨운다는 유능성 욕구, 아이들의 선택을 존중하라는 자율성 욕구, 믿고 사랑하고 기다리라는 관계성 욕구에 맞추어 아이젠하워, 마크 저커버그, 케네디 가 등의 모습을 보여주죠.

 

모두 훌륭한 부모들의 모습이고 좋은 예라서 현재의 나는 어떤 모습인가를 되돌아보게 해줍니다. 한편으로는 이 많은 부모들 중에서 어떤 모습을 따라야 하는가의 선택의 문제도 등장해요. 우선 자신은 어떤 부모가 될 수 있는가, 자신의 모습을 차분히 들여다보는 시간이 필요할 것 같아요. 그렇지 않으면 자칫 이도 저도 아닌 어중간한 가치관을 지닌 부모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이야기하니 부모가 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려. 어쩌면 육아인생 중 지금까지가 가장 편안한 날들이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스쳐 지나가기도 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곰돌군을 사랑하는 마음이겠죠. 사랑이라는 이름 아래 고통을 주는 부모는 되지 말자고, 다짐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