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컷 한국 현대사 - 빛바랜 한 장의 사진이 품고 있는 속 깊은 역사, 그 순간의 이야기
표학렬 지음 / 인문서원 / 2018년 1월
평점 :
역사를 공부하기 시작하면서 현대사 관련 책을 몇 권 읽었지만 이상하게도 현대사에는 계속 어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책을 읽어도 머리에 잘 들어오지도 않고 들어왔다고 해도 그 때뿐, 또 금방 잊어버리게 되더라고요. 생각해보면 고등학교 때 현대사를 열심히 공부한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고대사, 고려사, 조선사까지는 책에 열심히 밑줄도 치고 암기면 암기, 이해면 이해하려고 무척 노력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그 부분들을 많이 잊었다고 해도 조금만 책을 읽으면 쉽게 이해가 되는데, 현대사는 수업 시간에도 대충, 설렁설렁 넘어갔던 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 왜였을까요. 이제야 살짝 의심이 들지만 뭔가 사회적으로 현대사는 수업시간에 비중을 두지 말라는 무언의 압박이 있었던 걸까요. 조금이라도 어렸을 때의 머리가 더 좋았던 건가-하는 난데없는 생각도 해가며 어쨌든 열심히 책을 읽는 오늘입니다.
설명만 나열된 책보다 한 장의 사진을 소재로 관련 사실을 소개하는 방법이 저에게는 꽤 효과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대체 어떤 진실이 숨어있는 것인지 호기심을 불러일으켰고 내용에 더 집중하게 해주었어요. 1910년부터 1971년까지 굵직하면서도 마음아픈, 통탄하게 되기도 하고 울분을 내뿜게 되기도 하는 역사들이 바로 그 사진 한 장에 들어있었습니다. 책은 칼을 찬 교사들이 찍힌 일제의 무단통치부터 설명하며 시작됩니다. 식민지 시대는 더 말씀드릴 필요도 없이 마음 아픈 사진들로 가득했어요. 고종 황제의 일본식 장례 사진은 우리 민족의 무력감을 여실히 드러내주었고,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한 꼬마들 사진에서조차 그들이 앞으로 걸어야 할 길이 얼마나 힘든 것인지 느낄 수 있었습니다. 봉오동 전투의 홍범도 장군 사진, 이봉창 의사가 마지막으로 찍은, 활짝 웃는 사진 앞에서는 그만 마음이 시큰거리고 말았네요. 징용의 희생자들이 남긴 -엄마 배고파요-가 새겨진 글자를 찍은 사진 앞에서는 누구라도 눈시울을 적실 수밖에 없을 겁니다. 해방 후 찾아온 냉전의 시대, 이승만 정부, 제주 4.3항쟁, 한국 전쟁과 정치싸움, 독재에 대한 저항 등이 한 장의 사진과 함께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역사의 모든 부분이 그렇지만 현대사 쪽 책을 읽다보면 -유독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문구가 많이 떠오릅니다. 짧다면 짧고 길다면 긴 그 시간 안에 너무나 많은 아픔과 피눈물들이 담겨 있기 때문일까요. 이야기로서의 역사도 무척 좋아하지만, 결국 역사를 알고 공부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진심으로 생각해보게 됩니다. 다시는 마음 아픈 역사가 반복되어서는 안되니까요. 저처럼 현대사가 어렵게 느껴지시는 분들이라면, 사진과 함께 각인되는 역사가 무척 크게 다가오실 것 같습니다. 저도 이 방법으로 수업 연구 한 번 해봐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