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종느와르 M 케이스북 - OCN 드라마
이유진 극본, 실종느와르 M 드라마팀.이한명 엮음 / 비채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OCN에서 제작·방송되었던 드라마들 중에는 나의 기대를 충족시켜주었던 작품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신의 퀴즈], [TEN], [실종느와르 M]을 가장 좋아했었는데 OCN에 불만이라면 불만이었던 점은, 왜 재미있는 드라마를 굳이 일요일 밤 11시에 방영하느냐는 것이었다. 잠이 많기는 하지만 일요일 밤은 오전부터 찾아온 월요병으로 인해 쉽게 잠들지 못해서 뒤척이다보면 새벽 두 세 시를 넘기기 일쑤였는데, 그렇다고 일요일 밤 11시 드라마가 끝나고 잠들자니 완전히 밤을 새울 것 같은 기분에 불안해서 마음 편히 드라마를 시청하기란 어려운 일이다. 어쩌다 보고 싶은 마음을 참지 못하고 드라마가 끝나고 잠을 청하면 드라마 속 영상이 눈앞에 아른거려 월요일 아침을 끔찍한 기분으로 맞이하게 된 적도 있다. 월요일이 휴일인 날은 일요일 밤 OCN 드라마 시청하는 날. 그러다보니 띄엄띄엄 보게 된 드라마들. 재방송이라도 해주는 날에는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다.

 

이번에 읽은 책은 [실종느와르 M]의 케이스북이다. 이미 [셜록]을 통해 케이스북의 매력에 폭 빠져버린 나로서는 한 장 한 장 책장을 넘기면서 드라마를 볼 때의 기억을 다시 한 번 되살리기도 하고, 놓쳤던 부분을 침 꼴깍 삼키면서 읽어나가기도 했다. 길수현과 오대영 역을 맡은 배우 김강우와 박희순이 내뿜는 서로 다른 아우라는 이 드라마의 매력 중 하나였다. 무엇인가 비밀을 숨기고 있는 듯한, 사연 있는 듯한 분위기의 길수현, 발로 뛰어 직접 부딪치는 형사지만 결국 자신이 정한 영역을 넘어서게 된 오대영이 없었다면 이 드라마가 고급지게 완성되었을까 싶다. 책에서는 그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느끼기에는 약간 부족하지만 대신 완성도 있는 스토리라인에 더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다.

 

떠올리고 싶지 않은 잔혹한 사건들이지만 사연 없고 마음 아프지 않은 케이스가 없었다. 드라마는, 그리고 이 케이스북은 표면적으로 보이는 관계가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이야기해준다. 범행을 계획하고 무참히 살인을 저지른 이가 온전한 가해자가 아닌 것처럼, 겉으로는 많은 사람의 존경을 받고 높은 직위에 오른 사람도, 한 사람의 시민으로 잘 살고 있는 듯 보이는 사람도 순수한 피해자는 아니었다. 그리고 그 점이 마음 아팠다. ‘그 일만 아니었으면 이런 길을 걷지 않았을 사람이 타인의 악의와 뻔뻔스러움으로 인해 인생이 망가졌다. 주체할 수 없는 분노, 헤어나올 수 없는 절망감. 그 누구도 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보지 않는 이상 겉으로만 보이는 범죄에 대해 온전한 평가는 불가능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나 또한 내 가족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그런 일을 당한다면 어떻게 변할지, 어떤 행동을 취할지 알 수 없는 일이므로. 어쨌거나 법은 지켜져야 한다는 오대영 형사의 신조는 그러나 마지막 케이스 앞에서 무너져 내린다. 그 때의 그는 형사가 아니라 피해자였기 때문에. 법만 지키면 정의가 이루어지는가?라는 길수현의 의문은 당연하다.

 

어떻게 이런 스토리들을 만들어낼 수 있는지 감탄스럽다. 작가는 분명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 버젓이 자행되고 있는 불합리한 일들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사람일 것이다. 드라마이되 드라마로 끝나지 않는 작품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겉으로 드러난 세계가 아니라 그 아래 숨겨진 것들을 보라고 촉구한다. 부디 [실종느와르 M] 이대로 끝나지 않기를, 아니 이대로 끝날 리가 없다는 이 마음을 모른 척 하지 말아주기를. 법과 정의에서 갈등하는 길수현의 의문도 옳지만, 사랑하는 사람의 위기 앞에서 무너진 오대영 형사의 어쨌거나 법은 지켜져야 한다는 신조도 옳으므로. 그들이 그 줄타기에서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납득할 수 있는 해답을 얻어내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