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성당 이야기
밀로시 우르반 지음, 정보라 옮김 / 열린책들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움베르토 에코의 작품 중 완독한 것은 [장미의 이름]밖에 없지만 그 작품을 생각하면 여전히 제 마음 속에는 ‘굉장했어, 재미있었어’ 라는 감정이 솟아납니다. 물론 그 작품도 처음부터 완독했던 것은 아니었어요. [장미의 이름]을 처음 집어들었을 때의 나이가 무척 어렸기(?) 때문에, 그 때는 읽다가 중간에 포기하고 덮어버렸죠. 하지만 시간이 조금 흐른 뒤 다시 읽기 시작했을 때는 금방 빠져들었답니다. 특유의 분위기에 매료되었다고 할까요. 그 움베르토 에코의 이름을 이어받아 ‘체코의 움베르토 에코’라는 찬사를 받고 있는 체코작가 밀로시 우르반. 체코문학에 고딕 느와르 장르를 부활시켰다는 평가와 함께 현재 체코에서 가장 핫한 작가로 떠오르고 있는 듯한데요, 사실 전 이 ‘열린책들’이라는 출판사에 묘한 선입관을 가지고 있었어요. 미리 말씀드리자면, 출판사 자체는 좋아해요! 정말입니다! 그런데 이 출판사에서 출간된 책들 중에는 제가 쉬이 읽을 수 없는 작품들이 꽤 있었어요. [장미의 이름] 때도 그랬지만, 순간 정신이 어디 다녀온다고 할까요. 그래서 [일곱 성당 이야기]에도 흥미가 동하긴 했지만 내심 걱정도 했습니다. 읽다 포기하게 될까봐요.

그런데 체코를 좋아하는 저의 성향이 작품 읽기에도 도움이 되었나 봅니다. 올 겨울 다녀왔던 프라하의 모습이 다시 떠오르면서 생소한 지명들도 전혀 생소하지 않게 느껴지더라고요. 그래서 생각보다 쉽게 읽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이야기는 한 남자가 종탑에 매달려 그 스스로의 신체로 종을 치고 있는 사건이 벌어지며 진행됩니다. 주인공은 좀 소심하고 편집증적으로 느껴지는, 체코의 역사에 깊이 빠져있고 현실감각은 약간 떨어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전직 경찰이에요. 슈바흐 크베토슬라프라는 이름-슬라브 민족의 나약한 꽃 이라는 의미-으로 인해 콤플렉스도 가지고 있고, 직접 보지 않아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 없지만 왠지 왜소하고 자신감 없어보이는 외모를 가지고 있을 듯한 그런 인물입니다. 그에게는 경찰로서 실수했다는 트라우마가 있어요. 자신이 보호하던 여성이 자살로 결론 났지만 심상찮은 죽음을 맞았기 때문이죠. 그 일로 인해 경찰 일을 그만두어야 했지만 종탑에 매달려있던 남자로 인해 조건부로 다시 일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의 앞에 나타난 그뮌드라는 남자와 그의 친구이자 하수인인 프룬슬릭, 그리고 매력적인 여성경찰 로제타와 함께.

저에게만 그렇게 느껴지는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분위기가 밝지는 않습니다. 고딕. 느와르. 이기 때문일까요. 하지만 저는 프라하나 체코에 대해서도 또한 편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어쩐지 흐린 날이나 어두운 분위기가 어울릴 것 같다는-오히려 그 점이 더 마음에 들었답니다. 작품은 저에게 [장미의 이름]을 처음 읽던 때를 떠올리게 했어요. 이야기는 살인사건이 주가 된다기보다 체코에 존재하는 6개의 성당과 제7성당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많은 사실들이 작품의 중반 정도는 가야 밝혀지기 때문이에요. 만약 제가 인내심이 부족한 독자였다면 진즉 책을 덮었을지도 모르지만, 이상하게 문장 한 줄 한 줄을 읽어내려가다보면 마치 체코의, 작품의 배경이 되는 한가운데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들어서 도중에 포기하는 게 또 쉽지는 않더라고요. 기묘하게 그려져 있는 그림들도 인상적이었습니다.

지금까지 읽어왔던 작품들과 비교하면 그리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는 작품은 아닙니다. 하지만 종교와 건축, 문화와 역사가 어우러진 이야기에 흥미를 가지셨다면, 그리고 아름다운 도시 프라하를 동경하고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이 작품이 충분히 매력적으로 다가오리라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