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슈라라봉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53
마키메 마나부 지음, 권남희 옮김 / 비채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에게 마키메 마나부라는 작가는 엉뚱하고 코믹한 상상력의 소유자라는 이미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호루모’라는 독특한 경기를 만들어냈고 그 ‘호루모’를 소재로 [가모가와 호루모]와 [로맨틱 교토, 판타스틱 호루모] 두 작품을 썼죠. 그 밖에도 최근 우리나라에서 리메이크 된다고 알려진 일드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신이치 역으로 열연한 배우 타마키 히로시 주연의 <사슴남자>도 마키메 마나부 작가의 작품이랍니다. 인간과 개의 말을 알아듣는 영특한 능력을 가진 고양이 마들렌이 등장하는 [가노코와 마들렌 여사] 까지 매번 새로운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는데요, 예전부터 저는 이 작가와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를 쓴 모리미 도미히코 작가가 헷갈리더라고요. 독특한 상상력을 가지고 있다는 공통점 때문일까요. 어떤 의미인지 짐작도 되지 않는 [위대한 슈라라봉]이라는, 다소 만화스러운 제목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이 작품, 아무생각없이 읽기 시작했는데 어느 새 이 상상력에 푹 빠져버렸네요.

히노데 료스케는 신비한 힘을 지닌 가문의 자손입니다. 마음만 먹으면 사람을 자신이 원하는대로 행동하게 만들 수 있죠. 이를테면 나중에 히노데가 영업사원이 되었을 때 어떤 물건을 원하지 않는 사람에게 팔아야 할 때, 사고 싶은 마음이 들게 만들 수 있다는 겁니다. 하지만 정작 그는 그런 힘을 원하지 않습니다. 그저 평범하게 살고 싶어해요. 그런 마음을 안고 어쩔 수 없이 수련을 받기 위해 이와바시리의 큰아버지댁으로 들어가는 히노데. 엄청나게 커다란 저택에서 수상한 가정부 씨를 만나고, 사촌인 단주로도 만납니다. 독특한 성격의 단주로로 인해 전학 첫날부터 붉은 교복을 입고 등장한 히노데. 자신을 기피하는 것 같기도 하고 노려보는 것 같기도 한 반 친구들 중 유일하게 그를 상대해 준 사람이 있습니다. 그것도 무척 특이한 방법으로요. 전학 첫날부터 이 나쓰메 히로미에게 얻어맞은 히노데는 그가 자신의 가문과 라이벌 관계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하지만 여기에는 두 가문뿐만 아니라 또 다른 존재들이 있습니다. 바로 히노데 가문에게 쫓겨나다시피 했던 원래 번주였던 하야세 가문. 그 가문의 후손은 히노데와 가 나쓰메가 있는 반의 반장으로 당차고 똘똘한 여학생입니다. 이 여학생에게 첫눈에 반해버린 히로뚱 단주로. 하지만 그녀가 관심있어 하는 것은 나쓰메죠. 이로 인해 더욱 서로를 라이벌로 의식해가는 와중, 하야세의 아버지인 교장이 두 가문에게 시간을 줄테니 당장 이 땅을 떠나라고 경고해요. 다른 두 가문의 아버지들을 볼모로 잡고. 이에 고민에 빠진 세 명의 어린양들. 교장의 위협에 최대한 맞서는 순간 요상한 소리를 내며 엄청난 힘이 쏟아지고, 영문도 모르는 이 어린양들은 서로 너의 힘이니, 아니다 너의 힘이니 티격태격합니다. 결국 협상 없이 결투하게 되는 어린양들은 의외의 반전을 보이며 아련한 결말까지 선사합니다.

마키메 마나부 특유의 코믹한 요소가 잘 녹아들어있는 작품이에요. 주된 시각인 히노데 료스케는 오히려 주변인같은 느낌을 주기도 하지만 그의 캐릭터가 강하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나머지 캐릭터들이 살아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단주로의 히로뚱이라는 별명은 정말 인상적이었어요. 하지만 코믹한 부분뿐만 아니라 사람의 마음을 살짝 건드리는 재능도 여전하네요. [로맨틱 교토, 판타스틱 호루모]에서 느꼈던 아련한 기분이 이 작품에서도 잘 살아있습니다. 결말뿐만 아니라 소년들이 협력하는 과정이라거나 그들을 위협했던 존재가 왜 그럴 수밖에 없었는지, 왜 그랬는지 이해하게 만드는 부분도 꽤 설득력이 있거든요. 그저 웃긴 코믹소설이 아니라 세 소년의 성장을 다룬 작품이기도 하고, 누군가를 위해 희생한다는 묵직한 메시지를 지닌 소설이기도 해요.

[위대한 슈라라봉]에서 ‘슈라라봉’이 대체 뭘까 정말 궁금했었는데, 정말 생각지도 못한 반전이었습니다. 엉뚱한 데서 허를 찌르는 것도 대단한 재능이겠죠. 시종일관 코믹과 아련함을 번갈아가며 구사하는 것도요. 작가의 머릿속은 어떤 상상들로 가득 차 있을지 한 번 들여다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나저나. 일본에는 정말 이런 가문들이 있을까요. 마키메 마나부가 써서 그런지 정말 있을지도 모른다는, 요상한 기분이 들기도 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