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젯밤 카레, 내일의 빵 - 2014 서점 대상 2위 수상작 오늘의 일본문학 13
기자라 이즈미 지음, 이수미 옮김 / 은행나무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맨 처음 실려 있는 <무무무> 파트를 읽을 때는 조금 싱겁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른 나이에 남편 가즈키를 병으로 잃은 데쓰코는 처음 결혼했을 때와 변함없이 시아버지인 ‘시부’와 함께 살고 있어요. <무무무>에서는 데쓰코의 그런 사정, 그리고 남자친구 이와이로부터 청혼스럽지도 않은 청혼을 받지만 거절하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자세한 사정은 나와있지 않지만 친정과도 사이가 별로인 데다 가즈키를 잃은 상처가 깊은 탓인 것 같았어요. 하지만 그런 내면의 상처들로 인한 고통이나 아픔들도 7년이란 시간이 흘렀기 때문인지 생각보다는 담담하게 흘러갑니다. 그래서였을까요. 내심 뭔가 좀 더 애틋하고 아련한 에피소드들을 기대했던 탓인지 <무무무>를 읽고는 ‘에잉’ 했지만, 한 편 한 편의 이야기들을 읽을수록 점점 빠져드는 저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이 작품은, 떠난 사람이 남기고 간 자리를 추억하는 남은 사람들의 추모를 소재로 한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총 8명이 서로 다른 시각으로 가즈키를 생각합니다. 이미 많은 시간이 흘렀지만 어쩐지 가족을 만드는 것이 무섭고 새로운 생활을 시작하기가 어려운 데쓰코, 어린 시절 친구이자 <무무무>에도 잠깐 등장하는 다카라, 등산을 하면서 생명에 대해 다시 생각하는 시부, 가즈키의 사촌동생인 도라오는 가즈키의 언행과 가즈키의 차를 통해 그를 생각합니다. 여기에 데쓰코와 그녀의 남자친구인 이와이의 소소한 이야기, 가즈키의 어머니 유코의 시부와 결혼 전 이야기, 어쩌다보니 이와이와 결탁하게 된 시부의 이야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가즈키가 <어젯밤 카레>를 발견하게 된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에 가즈키의 이야기가 등장했을 때는 깜짝 놀라기도 했지만 기분이 이상했어요. 이미 세상에 없는, 존재하지 않는 사람의 이야기였으니까요. 가즈키가 발견한 <어젯밤 카레> 소녀가 데쓰코인지는 명확히 나와 있지 않지만, 분명 데쓰코일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때로는 일본소설 특유의 담담한 문체가 오히려 더 와닿는 경우가 있어요. 감정을 마구 분출하지 않고 그저, 아아 그렇구나, 고개를 끄덕이면서 그럴 수도 있지 넘어갈 수 있도록 마음을 단련시켜준다는 느낌이랄까요. 분명 슬픔과 고통, 애정과 기쁨들이 존재하지만 그것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으면서도 충분히 알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해줘요. [어젯밤 카레, 내일의 빵] 은 사실 무슨 빵과 관련된 따뜻한 이야기일 거라고 생각했지만, 물론 빵이 전혀 등장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빵이 주된 소재는 아니고요. 사랑하는 사람이 떠난 슬픔을 치유하면서 절대 잊지는 않는, 그러면서 한발한발 내딛으며 또 다른 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누군가를 통해, 무엇을 통해 -나는 살아있구나!-를 느끼는 사람들의 이야기요. 반복되는 일상에 지쳐 한숨 돌리고 싶을 때 편안한 마음으로 읽기 좋은 작품이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