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을 담은 배 - 제129회 나오키상 수상작
무라야마 유카 지음, 김난주 옮김 / 예문사 / 2014년 5월
평점 :
절판


한 번 번역되었던 책이 다시 번역되어 출간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을 겁니다. 그런데 그 흔치 않은 일이 일어났다면, 그 책에 대한 번역가의 애정이 남달라서일까요, 그 작품에 대한 독자들의 찬사와 사랑이 그만큼 대단했기 때문일까요. 한 쪽에만 해당될 수도, 양쪽 모두의 이유일수도 있겠지만 저는 이 작품이 재번역된 것이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런 작가가 있다는 것도, 이런 이야기가 있었다는 것도 모르고 지나갔을테니까요. [별을 담은 배]는 129회 나오키상을 수상한 작품입니다. 그것이 2003년이니 벌써 11년도 더 전의 일이네요. 좋은 작품은 시간과 공간에 상관없이 많은 사람들의 인정을 받는다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죠. 이 작품도 부디 그렇게 되길 바라봅니다. 가족들의 이야기도 이야기지만,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다루고 있는 일본인의 눈으로 본 전쟁과 위안부 소재는 하나의 살아있는 역사로 받아들여도 좋을 것 같습니다.

총 여섯 편의 연작 단편집입니다. 각각의 주인공은 한 가족이에요. 의붓동생인 줄 알았다가 사랑에 빠진 사에가 사실은 이복동생이라는 충격에 집을 나간 아키라, 집안의 막내로서 힘겨움을 감내하고 명랑한 척 지내온 미키가 감추고 있던 어둠, 한 남자와의 결혼을 앞두고 있지만 여전히 아키라를 마음에서 지우지 못한 사에, 집안의 장남으로서 살아왔고 이제는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 50대를 맞이한 미쓰구가 겪는 고뇌, 그의 딸인 사토미가 맛보는 청춘의 쌉싸름함,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일이 일어난 시작을 만들어낸 인물이라 할 수 있는 아버지 시게유키가 노년을 맞이하여 과거를 되돌아보는 감회가 그려져 있어요. 그 때가 아니면 느낄 수 없는 고통들-10대인 사토미가 느끼는 친구에 대한 동경과 약간의 질투, 30대를 갓 넘긴 미키가 겪는 삶에 대한 불안함 등-이 마치 작가가 한 명 한 명의 캐릭터 안에 녹아있는 듯 그들의 입을 빌어 저마다의 방향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키라와 사에의 사랑도 가슴 아팠고, 미쓰구가 느끼는 허무함도 안쓰러웠지만 역시 이 작품의 하이라이트는 아버지 시게유키가 등장하는 파트인 것 같아요. 어린 나이에 전쟁에 참가했던 시게유키는 그 곳에서 인간이 인간답지 못할 수 있다는 것, 사람이 어디까지 잔인해질 수 있는가에 대해 몸으로 겪게 됩니다. 그 곳에서 만난 조선인 위안부 야에코, 한국이름 강미주. 비극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이 조선인임을 잊지 않고 정체성을 지켜나가려했던 강한 정신력의 소유자인 그녀를 사랑하게 된 시게유키는 참혹하게 그녀를 잃었고 현재에서는 그 누구와도 잘 어울리지 못하는 인물로 비춰지죠. 겪어보지 못한 전쟁을 젊은 사람들이 뭘 알고 떠드는가 우습기만 하고, 그렇다고 전우들과 시간을 보내며 그 때를 미화시키는 것도 고통스럽기만 한 시게유키. 작가는 전쟁을 겪으면서 자연스럽게 변화해버린 시게유키라는 인물을 통해 전쟁 그 자체의 참혹함에 대해 이야기하고, 일본사람이라면 그 누구도 쉽게 이야기하지 못할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을 유지합니다. 일본 정부에 대해 우리국민의 불신이 깊어지는 요즘, 일본에는 이런 사람도 있다!-라고 외치는 듯한 기분이 들었어요.

그리고. 시게유키의 두 번째 부인 시즈코의 이야기를 하지 않고는 넘어갈 수 없을 듯 합니다. 지주막하출혈로 이미 작품의 처음부터 죽음을 맞은 그녀는 미쓰구와 아키라를 키워내고, 사에와 미키를 낳은 후처입니다. 미쓰구와 아키라의 어머니였던 하루요가 살아있을 때부터 이미 시게유키와 관계를 맺어왔고 그로 인해 사에를 덜컥 갖게 된 그녀는, 작품 안에서 그녀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는 않지만 가족들에게 그 누구보다 강한 영향을 미치는 존재로 자리잡고 있어요. 아키라가 사에와 이복동생이라는 사실을 알고 그토록 분노하고 절망했던 이유는 사에와의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신을 낳아준 어머니 하루요보다 키워준 어머니 시즈코에 대해 맹목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 아닐까요. 몇 십년의 세월을 자신의 죄를 비는 마음으로 인내하고 한 가정을 이끌어온 그녀. 그녀의 부재는 가슴 아프지만 그 부재가 오히려 가족들이 서로를 살피고 보듬으며 앞으로 한 발 내딛을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는 것도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연작단편집이지만 작품이 가진 서사의 매력이 대단합니다. 작가의 냉철한 시각은 물론 마음을 울리는 감성이 공존하고 한 인간의 삶이 갖는 의미를 되새겨보게 해주는 작품입니다. 나오키상을 받을만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이야기로서의 재미와 전달하려는 메시지, 모두 훌륭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