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의 묘지 1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움베르토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처음 읽었던 때가 생각납니다. 저는 이 작품을 두 번 읽었는데, 처음 읽었을 때는 중세를 배경으로 한 추리소설이라는 것만 깨달았을 뿐 완독하기도 힘들었어요. 지금 생각하니 꽤 어렸을 때 읽었으니 그럴만 하다 싶지만 [프라하의 묘지]를 읽고나니 그것 또한 움베르토 에코 작품의 특징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는군요. 처음 [장미의 이름]을 읽었을 때의 느낌 그대로, [프라하의 묘지] 또한 저를 굉장한 지적 혼란 속으로 몰고 가네요. 조금이라도 집중력이 흐려지면 다시 몇 페이지를 읽게 되는 터라 엄청 끙끙대면서 읽었습니다. 그런데 제가 내용을 제대로 다 이해한 것인지는 확신이 들지 않아요. 두 번째로 [장미의 이름]을 읽었을 때 감탄과 경의를 느꼈으니 [프라하의 묘지]도 두 번 읽으면 그렇게 될까요. 움베르토 에코, 독자들의 이런 고충을 알고나 있을런지요.

 

위조 문서 전문가이자 실력있는 책략가이기도 한 시모니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어느 날 아침 자신은 기억하지 못하는 형태의 옷차림으로 일어난 시모니니. 그는 자신의 정체와 혹시 있을지 모르는 또 다른 인물을 캐내기 위해 자신의 일대기를 서술하기 시작합니다. 어떤 때는 시모니니의 시각에서, 어떤 때는 달라 피콜라라는 사람의 시각에서, 어떤 때는 '화자'라고 일컬어지는 사람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는데 글씨체를 따로 하여 차이를 두었다고는 하나 저에게는 참 혼란스러운 작품이 아닐 수 없었어요. 시모니니의 일대기 또한 파란만장하기 그지 없습니다. 자신의 안위와 책략을 위해서라면 사람을 죽이는 것에도 전혀 아랑곳하지 않고(전쟁을 겪었다고는 하지만요) 이 일이 끝났다 싶으면 저 일에 끼여들어 위기를 맞기도 하니 대체 이 남자의 정체와 결말은 어찌될 지 궁금증을 자아내죠.

 

종국에는 어떤 것이 진실이고 어떤 것이 허구인지조차도 헷갈리게 만들어버립니다. 유령의 목소리를 내는 시모니니, 숨겨진 권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작가. 어렵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은 둘째치고 작가의 상상력에는 혀를 내두를 수밖에 없습니다. 평소 작가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에 대해 존경의 마음을 갖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장미의 이름]에 이어 [프라하의 묘지]를 읽고보니 '대작가'라는 것은 이런 것이구나, 나처럼 창의력과 상상력에 한계가 있는 사람들은 결코 범접할 수 없는 시각으로 세상을 보는 사람들이 있구나, 글은 역시 아무나 쓰는 게 아니야-와 같은 감정의 파도가 밀려온다고 할까요. 명심하세요. 이 작품을 읽을 때는 결코 주의를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없습니다. 돌려서도 안됩니다. 그렇게 되면 언제 어떻게 이 작품이 선사하는 혼란의 소용돌이에 휘말릴지 모르게 될테니까요. 으아. 저는 그저 지금부터 다시, 이 작품을 처음부터 읽어봐야겠습니다. 아, 이번에는 메모도 함께 하면서 말이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