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꽃, 눈물밥 - 그림으로 아프고 그림으로 피어난 화가 김동유의 지독한 그리기
김동유 지음, 김선희 엮음 / 비채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잘 알지 못했던 김동유님의 그림에세이입니다. 굳이 분류하자면 여러 가지 그림들을 소개해주는 책이 아니라 자서전같은 책이라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굉장히 선한 인상의, 고집이라고는 단 한줄도 보이지 않는 화가의 얼굴에서 고생이라는 그늘은 단 한 점도 찾아볼 수 없었어요. 그림을 그려온 세월들을 그는 어려움이라고 생각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겠죠. 아무리 어려운 시절을 보냈어도, 그 순간에도 그는 그림에 대한 열정과 사랑으로 불타오르고 있었을테니까요. 그런 뜨거움이 부럽기도 했지만 그것은 어쩌면 비범한 사람에게만 찾아오는 열정의 시간들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조금 질투와 심술이 나네요.

 

단 한 가지만 보고 굳건하게 걸어간다는 것은 어떤 기분일까요. 정말 그는 단 한 순간도 흔들린 적이 없었을까요. 아닙니다. 그도 흔들렸겠죠. 그림을 반대하는 부모님과 생활고에 시달리는 가족을 바라보면서 그의 마음이 아프지 않았다면, 그건 사람이 아니므니다~일 겁니다. 그저 버틸 수 있었던 것은 그림, 그 하나였다는 것을 생각하니 도대체 얼마나 단단한 성품과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지 상상하기 쉽지 않네요.

 

더불어 저는 화가 김동유 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에게 더 자주 눈길이 갑니다. 몸이 아프다고 해도 무뚝뚝하게 대꾸하고 가족들은 안중에 있는지 없는지 오직 그림 그리기에만 몰두하는 남편이 얼마나 원망스러웠을까요. 아내의 입장에서는 어찌나 이기적인 남편이신지. -가난은 환쟁이의 부록-이라며 축사같은 곳을 개조해서 집이라고 살려니 아내 분의 마음 고생이 얼마나 심했을지 같은 여자 입장에서 공감이 되고도 남습니다. 화가로서는 성공했지만 남편으로서는 어떨지 그녀의 입장이 아니라면 알 수 없을 거에요. 그나마 이제 조금 살림이 피셨을테니 마음이 많이 누그러지셨기를. 화가 김동유님 옆에 아내분이 있었기에 그가 묵묵히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는 것을 그도, 그녀도 아시기를 바랍니다.

 

살림이 좀 나아지자 좋은 곳으로 이사가자는 아내와는 달리 원래 있던 곳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했다는 그. 아내 입장에서는 때려주고 싶을 정도로 얄미운 발언이었겠지만 책을 읽는 독자의 입장에서는 '오!!'라는 감탄이 저절로 나오더군요. 우쭐하지 않고 그림 앞에서 늘 겸손한 그의 자세가, 비록 가족들 앞에서는 인정머리 없어 보일 때도 있었지만, 그림에 대한 사랑만큼은 그 누구보다 깊고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니까요. 그림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평가할 지식을 갖추지 못한 저로서는 그의 그림이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는 잘 알 수 없었지만, 마릴린 먼로의 작은 얼굴들로 이루어진 존 F 케네디의 얼굴 등은 인상적이었습니다. 이기적이고 외곬수인 화가이지만 어느 정도 이름을 알린 후에도 자만하지 않고 그림만 바라보며 후학을 기대하는 그의 행보가 흥미롭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