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복 ㅣ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사회파 미스터리의 거장이라고 불리는 마쓰모토 세이초. 그의 작품 중 읽은 것은 [제로의 초점]이라는 장편소설이었는데, 단편이 이만큼의 완성도를 갖는다면 이 작가는 장편보다 단편을 쓰는 편이 더 괜찮았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로의 초점]의 전개는 조금 지루한 면이 없지 않았는데 [잠복]에 실린 단편작품들은 깔끔하면서도 군더더기 없는 스타일인 것 같아요. 물론 장편에 비해 긴장이나 스릴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거나, 장편에서 볼 수 있는 논리적인 두뇌싸움은 엿볼 수 없지만 미스터리인만큼 단편을 이만큼 써내기는 더 힘들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총 8편의 작품이 실려 있습니다. [제로의 초점]을 단편화한 것 같은 <얼굴>부터, 쫓기는 용의자를 찾기 위해 그의 옛 연인을 감시하는 형사의 안타까운 심리가 고스란히 투영된 <잠복>, 필요하다면 어쩔 수 없다는 변명 아래 자식까지 해칠 수 있는 인간의 어두운 내면을 그려낸 <귀축>, 도쿄에서 낙향한 한 신문기자가 심상치 않은 살인사건을 추적하는 <투영>, 전화교환원이었던 여성이 잘못 건 전화로 인해 사건에 휘말리게 되는 <목소리>, 무슨 이유에서인지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이 아닌 다른 지방의 신문을 구독하려 하는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의 사연, 남편을 살해한 여인의 숨겨진 욕망을 그린 <일 년 반만 기다려>, 망망대해에서 배가 난파했을 경우 널 하나에 매달려 있는 다른 사람을 빠뜨려 죽이고 자신만 사는 것의 정당함을 비유한 <카르네아데스의 널>까지.
작품집을 읽으면서 '인간, 참 무섭다'는 생각을 새삼 하게 됩니다.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서라면 타인은 물론이고 가족이나 사랑하는 여인까지 마음껏 이용하고 버릴 수 있는 행동은 인간으로서 진화한 것의 부정적인 면이 아닌가 합니다. 그러나 작가는 인간의 그런 어두운 면 뿐 아니라 정의로운 부분, 아무리 용의자라고는 해도 그 사람으로 인해 행복을 느끼는 다른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새로운 시각, 논리적인 분석력 등 작가로서 보여줄 수 있는 모든 것을 여기에 담아낸 듯 합니다. 장편이라면 조금 늘어질 수도 있는 이야기 속에서 적당한 긴장감과 포인트를 내세워 시종일관 책을 손에서 놓지 못하게 만들었답니다.
사실 저는 [제로의 초점]을 읽고 조금 실망했었어요. 시대적인 격차, 세대적인 격차를 감안하더라도 자극적인 스릴러와 미스터리에 길들여져 있던 터라 조금 시시하게 느껴졌기 때문이죠. 그런데 [잠복]에서 느껴지는, 작가가 살아 숨쉬던 시대의 풍취는 뭐랄까, 구수하기도 하고 그립기도 한 오묘한 맛을 내고 있습니다. -인간성이 드러나는 추리소설을 쓰고싶었다-는 그의 진심이 잘 반영된 작품입니다. 픽션 뿐만 아니라 논픽션 부분에서도 두드러지는 작가인 듯 한데 한 권씩 그의 작품을 찾아 읽어봐야겠습니다. 요렇게 독서의 재미가 증가한다는 것, 참 기쁘지 아니한가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