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회와 진실의 빛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2
누쿠이 도쿠로 지음, 이기웅 옮김 / 비채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일년 내내 스릴러와 미스터리를 끼고 사는 저이지만 무차별 살인은 좋아하지 않아효. 제가 바라보고 싶어하는 것은 사건을 대하는 등장인물들의 감정, 가장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을 처리하는 방식이나 사람들의 심리 등입니다. 그런 점에서 [후회와 진실의 빛]은 손가락을 잘라간다는 사건의 소재는 마음에 들지 않지만 나머지 조건에서 굉장한 문제의식을 제기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합니다. 인터넷의 익명성과 -나만 아니면 돼-라는 의식의 팽배, 인간으로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등 여러 생각할 점을 제시하거든요. 사건전개가 스피디하지도 않고 영미스릴러처럼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은 부족하지만 영미소설에서는 볼 수 없는 일본 사회파 미스터리 특유의 매력으로 빛을 발하는 작품입니다.

 

지금까지 몇 편의 형사소설을 읽어왔는데요, 대부분의 형사소설 속 등장인물들은 주인공을 중심으로 똘똘 뭉쳐있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정의라는 이름 아래 하나가 된 삼총사처럼 주인공을 필두로 으샤으샤하며 범인을 검거하죠. 물론 삐딱선을 타는 인물이야 간혹 등장하기는 하지만, 그런 인물도 성향이 조금 다를 뿐 정의를 추구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해서 결국에는 주인공과 하나가 된다는 스토리라인이 대부분이었던 듯 합니다. [후회와 진실의 빛]도 사건을 해결하는 경찰이 주인공이라는 점에서 여느 형사소설과 다를 바 없을 것 같지만 그 주변인물들이 좀 더 입체적이라는 점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주인공 사이조 고지는 한마리 고고한 학과도 같은 인물이에요. 공로에는 관심도 없고 오로지 사건을 해결하는 일에만 매달릴 뿐인데, 명석한 두뇌와 사건해결에 대한 열의가 남달라 주위 사람들의 오해를 사죠. 그런 그의 능력을 시기질투하여 자격지심에 그를 증오하는 와타비키같은 인물이 있는가하면, 겉으로는 표현하지 않고 있다가 사이조가 어려운 상황에 처하자 묻어두었던 감정을 터뜨리며 모른 척 하는 누구도 있고, 심술궂게 그를 곤경에 빠트리는 누군가도 있습니다. 그들은 사이조의 능력은 인정하지만 그를 한 인간으로서 존중하지는 않죠. 오히려 그를 오해하고 미워하며 다른 사람보다 빨리 범인을 검거하여 공로를 세우는 데만 급급한 인물들입니다. 정의, 범인검거라는 이름을 좇는 건 같지만 하나가 되기보다는 '자신'만 되려하는 모습에서 오히려 현실감을 느꼈다고 할까요. 우리가 사는 세상은 아무래도 그런 편에 속할테니까요. 너무나 현실적인 모습에 씁쓸하기도 했습니다만.

 

작가가 문제시하는 또 다른 모습은 인터넷의 익명성과 그를 통한 생명경시, 현실과 가상세계의 허술한 경계, 엄청난 이기주의입니다. 작품 속 범인은 자신의 범죄와 범죄예고를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는데요, 그런 범인의 모습보다 그를 대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더 충격적으로 나타납니다. 범행예고에 언제 죽일건지, 어떻게 할 건지 댓글을 달고 범행완료 글에 다른 누군가도 없애달라며 달려드는 모습에서 더 이상 인간의 존엄성을 찾기란 어려운 일일 겁니다. 하지만 그런 모습은 우리 사회에도 빈번히 일어납니다. 검증되지 않은 보도와 그로 인한 악플, 자살.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어둠입니다.

 

이 작품만큼 주인공 형사를 곤경에 빠트리는 작품도 없을 거에요. 하지만 그런 곤경을 통해 비로소 주위 사람들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신을 돌아보게 된 사이조. 마지막 장면을 보면 후속편이 나올 것 같기도 한데 말입니다. 여러 인물들의 내면을 깊게 들여다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저는 [우행록]이나 [통곡]보다 이 작품이 더 마음에 드네요. 야마모토슈고로상을 수상할만하다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