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욕망의 리스트
그레구아르 들라쿠르 지음, 김도연 옮김 / 레드박스 / 2012년 6월
평점 :
절판


누구나 한번쯤 로또에 당첨되길 기원해본 적이 있을 겁니다. 이루어질 리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로또에 당첨되어 많은 돈이 생기면 뭘 하면 좋을까를 상상하며 행복한 공상에 빠지곤 하죠. 저의 욕망 리스트는 때때로 바뀌는데요, 건물을 한 채 사서 평생 세를 받으며 생활을 유지하고, 여행을 하거나 책을 읽으며 유유자적 사는 삶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흐뭇한 미소가 저절로 피어오릅니다. 엄청 큰 집을 지어서 집 전체를 모두 책으로 채워놓는 것도 좋겠죠. 물론 그렇다고 해서 일을 그만두거나 하지는 않을 것 같아요. 다만 지금보다는 좀 더 자유로워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합니다.

 

기대하지 않았는데 대박이를 건졌습니다. olleh! 결코 길지 않은 분량이고, 일상의 소소한 행복을 아름답게 여길 줄 아는 여인이 로또에 당첨된 후 남편에게 배신당하는 단순한 내용을 이리도 아름답게 서술할 수 있다니, 문학은 거룩한 것입니다. 암요. 만일 문장이 아름답지 않았거나 감정이 절제되지 않았다면 저는 '소소한 일상의 행복이란 단연 중요한 것임에도 독자에게 굳이 상기시킬 필요는 없다'는 둥의 평을 쓰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사실 그렇잖아요. 돈에 휘리릭 눈이 뒤집혀서 그렇지 사랑하는 가족과 평화로운 일상의 소중함을 모르는 사람이 어디 있겠습니까. 그건 생활이고, 그 생활을 어떻게 문학적으로 승화시켜 표현할 것인가, 그것이 작가의 임무일 겁니다.

 

주인공 조슬린은 상당히 절제된 어조로 담담히 자신의 상황을 표현해냅니다. 어찌보면 답답해보일 수도 있는 캐릭터지만 저는 이런 소재에는 조슬린같은 인물이 더 잘 어울린다고 생각해요. 과장된 감정표현, 수다스러운 성격의 여인네였다면 그녀의 감정이, 그녀의 슬픔이 이렇게까지 와닿지는 않았을 것 같습니다. 문장도 긴 편은 아닙니다. 오히려 짧고 간단하죠. 군더더기가 전혀 느껴지지 않고 필요한 것만 딱딱 표현해내고 있다고 할까요. 요즘 '적확하다'는 표현이 눈에 많이 띠는데 제가 생각하는 그런 의미라면 이 작가의 표현법이야말로 '적확하다'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작가는 남성임에도 여성의 목소리를 빌려 그 심리를 섬세하게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자유를 원하지 않거나 꿈을 전혀 꾸지 않는 것이 아닌 여인이 지금 느끼는 행복으로 인해 로또에 당첨된 것을 얼마나 두려워하는지, 남편을 결코 사랑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랑에 확신을 가지지 못하는 미묘한 떨림과 그럼에도 그가 자신을 떠날까 고뇌하는 모습은 충분히 공감을 불러일으킬만 했습니다. 또한 남편의 모습은 얼마나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는 지. 절대 돈으로 살 수 없는 행복을 걷어찬 후 맞이하는 그의 안타까운 모습은 -죽음의 고통이 시작되었을 때, 그는 행복했다-라는 아름다운 문장으로 묘사되고 있습니다.

 

제가 반한 문장들은 이래요. 다 적지는 못하지만.

 

 가끔씩 이들의 육체는 메시지를 던지며, 이들의 한숨은 편지를 담아 바다에 던진 유리병이 된다. 때로 그 병을 집어드는 남자가 있다. 덧없는 약속과 환멸의 시간이 든 그 병을.

옛날에 조는 내가 그의 목에 키스하는 걸 좋아했었다. 남편의 얼굴에 드러난 세월과 꿈에서 멀어지게 하고 침묵 속에서 우리를 가깝게 만든 시간을 들여다보았다.  

 과거에서 온 모든 건 전혀 낡지 않았다고 생각해요. 무언가 굉장히 아름다운 걸 소유하고 혼자 조용한 시간을 보내는 건 중요한 일이에요. 예, 모든 게 너무 빨리 간다고 생각해요. 너무 빨리 말하고, 생각할 때조차 너무 빨리 생각해버려요!

제 가슴 속에 있는 말들을 제대로 전달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이 작품에 대해서는 더 이상 드릴 말씀이 없네요. 그저 읽어보시라는 말밖에는. 저는 이미 두 번이나 읽었으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