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연속 세계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0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온다 여사라고 하면 당연하다는 듯 따라오는 수식어가 있습니다. 노스탤지어의 마법사. 사실 저는 딱히 어떤 분위기를 노스탤지어라고 하는지 잘 모르겠지만 온다 여사의 이야기는 읽다보면 마음 한 구석이 저릿저릿해지는 이상한 느낌이 있어요. 그 느낌은 보고 싶은 사람이 있는데 아무리 그리워해도 더 이상 만날 수 없다거나 마치 세상에 나 혼자 뚝 떨어져있는 것 같은 기분과 닮아있습니다. 안식과 평화를 갈구하는 기분이라고 할까요. 만약 그런 느낌들이 노스탤지어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면 온다 여사는 그 방면으로는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능력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런 분위기들은, 한 번 만들어봐야지!-하고 결심한다고 해서 조성되는 것은 아닐 테니까요.

 

[불연속 세계]를 읽기 전에 [달의 뒷면]을 먼저 읽었다면 좋았을테지만 연작 단편집이라 가벼운 마음으로 집어든 것이 계기라면 계기. 다몬(多聞)이라는, 매우 좋은 뜻의 이름을 가진 한 남자가 어디를 가든 괴이한 사건에 휘말리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가는 곳마다 이상한 일을 겪게 된다는 점에서 명탐정 코난이나 소년탐정 김전일을 떠올리게 되기도 하지만, 이 다몬은 사건을 해결하는 역할은 아니니까요. 사건을 해결한다기보다 그저 괴이한 일들을 들어주고 나름 그 이치를 따져서 조리있게 사건 당사자에게 의견을 전달하는 정도입니다. 어쩐지 종이인형같은 이미지의, 이리 바람이 불면 이리 흔들리고 저리 바람이 불면 저리 흩날릴 것 같은 사람인데, 어떻게 또 결혼은 했는지 이 남자의 인생 또한 불가사의하다고 해야 할까요.

 

총 다섯 편의 단편이 실린 작품집입니다. 처음을 장식하는 <나무 지킴이 사내>와 두 번째 이야기인 <악마를 동정하는 노래>를 읽고는 약간 무서웠습니다. 막 잠에 들기 전 읽었기 때문인지 무서운 꿈도 꾸었어요. 뒤에 이어지는 <환영 시네마>와 <사구 피크닉>등도 덜 무섭기는 했지만 앞의 두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노스탤지어보다는 '괴이'하다는 느낌이 더 강했습니다. 귀신과 연결되는 느낌? 인간의 마음 속 어두운 기운이 그런 덩어리로 드러난 게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가장 마음에 든 이야기는 마지막 이야기 <새벽의 가스파르>입니다. 이 작품은 [흑과 다의 환상]을 연상시키는 이야기였는데요, 앞에서 언급했던 그런 분위기와 마음들을 오랜만에 맛볼 수 있게 해주었습니다. 참 좋았어요.

 

이 책은 이야기보다는 '다몬'이라는 남자 자체가 흥미로운 작품입니다. 실제로 이런 사람이 있다면 여자든 남자든 간에 한 번 만나보고 싶어요.

 

-다몬 씨는 늘 '열린 상태'잖아...그러면서 어디에 있어도 닫혀있을 수 있단 말이지. 다몬 씨는 툭 터놓는 것 같지만 속마음은 전혀 드러내지 않으니까.  

-드러낼 속마음이 없을 뿐이야.

-응 그럴 수도 있어. 

아아, 대체 이 다몬은 어떤 사람인 걸까요. 어쩌면 저는 이런 사람을 만나고 싶다기보다 이런 사람이 되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