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고백
김려령 지음 / 비룡소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득이]와 [우아한 거짓말]에 이어 접하는 김려령 작가의 세 번째 작품입니다. 음. 개인적으로는 [완득이] > [가시고백]> [우아한 거짓말] 순이 되겠습니다. 사실 [완득이]를 재미있게 읽었던 터라 [우아한 거짓말]에 대한 기대가 매우 컸었어요. 하지만 [완득이]의 성공으로 작가가 심리적 부담을 느꼈는지 어쨌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우아한 거짓말]은 억지로 감동을 만들어내려 한다는 느낌이 강했습니다. 왠지 힘이 잔뜩 들어가 있다는 느낌, 독자들이 이 부분에서는 뭔가를 느껴줬으면 좋겠다는 인위적인 장치가 내재되어 있다는 기분. 제가 예민한 탓일 수도 있지만, 오히려 그랬기 때문에 심각한 주제가 희극처럼 보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가시고백]에서는 완전히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깨힘이 조금 빠졌다고 할까요. 현실 그대로라고 할 수는 없으나 [완득이]에서 느꼈던 유쾌함과 발랄함 속에 10대들의 고민이 녹아들어있는 듯 합니다.

 

남의 물건에 손대는 일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해일과 재혼가정인 지란, 반장이라는 한없는 책임감에 짓눌려 마음고생하는 다영이와 너스레 잘 떨고 욕쟁이이긴 하지만 누구보다 속깊은 진오가 이야기를 이끌어 갑니다. 그 와중에 제자로부터 깊은 상처를 받은 담임교사와 도사같은 분위기를 풍기는 해일의 형 해철이 등장해 곳곳에 조미료를 뿌려주죠. 10대들의 고민이 비단 공부만은 아님을, 이 작품은 잘 보여주고 있는 듯 합니다. 공부만 하기에는 굉장히 좋은 햇살과 바람 아래서 살고 있는 데다, 공부에만 집중하기에 편안한 환경을 가진 아이들은 그리 많지 않으니까요. 적어도 친구관계, 부모님과의 관계로 인해 한 두가지 고민쯤은 안고 있을 겁니다. 때문에 우리 어른들은, 아이들이 한없이 밝게 웃고 있어도 그 아이가 늘 즐거운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어쩌면 더 잘 살펴야 할 존재일지도 모른다는 것을 꿰뚫어볼 수 있는 혜안을 지니고 있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4명의 아이들 모두 가슴에 상처와 고민은 있지만 그들 특유의 발랄함과 활기참으로 귀엽고, 나름 시크한 매력을 풍기는 담임교사도 조금 잘난 척 말하는 것(작가가 세상에 하고 싶은 말인 걸까요?) 빼고는 마음에 들지만 제가 주목한 인물은 해일의 형 해철입니다. 글쎄요. 작가는 어떤 생각으로 이 해철이라는 인물을 창조해낸 건지 매우 궁금하군요. 세상의 잣대를 들이대면 놀고먹는 백수에 돈 안 되는 일에 열심인 한심한 사람처럼 보이는 이 해철이, 어쩌면 이 작품에서 제일 생각깊고 어디에 떨어트려 놓아도 가장 힘차게 살아갈 인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시되어야 할, 필요한 인물이기도 하고요.

 

 감정은 잘 다스려야 해요. 질투나 시기가 지나치면 인격살인으로 이어질 수도 있거든요. 저보다 잘났든 못났든 조롱하고 야금야금 씹는 거죠. 그거 결국 둘 다 죽는 거예요...감정 분포가 잘못된 사람은 모든 기준이 자기인 줄 알아요. 그런 사람일수록 저만 잘 먹고 싶어 하죠. 같이 굶어 죽으면 죽었지 남 잘 먹는 꼴은 죽어도 못 보는 거예요. 감정 설계는 그런 사람이 제일 먼저 받아야 해요. 자기 무덤 자기가 더 깊게 파기 전에. -p55

약간은 심각한 에피소드들이 등장함에도 즐겁게 읽었지만, 조금 산만하다는 인상도 지울 수 없습니다. 작가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다는 느낌이랄까요. 10대들의 고민, 다른 사람을 헐뜯고 상처주는 사회에 대한 비판, 교사와 아이들과의 관계, 교직에 대한 생각 등등 아직은 정리가 조금 덜 된 느낌이에요. 다음 작품에서는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 하나만 딱 잡아서 조금 심도있게 그려보면 어떨까 싶네요. 전체적으로는 즐겁게 읽을 수 있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리고. 작가의 말, 참 괜찮네요.

 

 삶의 근육은 많은 추억과 경험으로 인해 쌓이는 것입니다. 뻔뻔함이 아닌 노련한 당당함으로 생과 마주할 수 있는 힘이기도 합니다. 살아 보니 미움보다 사랑이 그래도 더 괜찮은 근육을 만들어 주는 것 같습니다. 내가 아직 철이 덜 들어 미운 사람 여전히 미워하지만, 좋은 사람 그냥 떠나 보내는 실수는 하지 않으려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