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 생활 풍경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아모스 오즈 지음, 최정수 옮김 / 비채 / 201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모스 오즈의 작품은 처음이지만 이 작품집은 '세계의 다른 한편에서 알레고리로 읽히곤 하는' 그런 소설이 아닙니다. 작가가 원하는대로 일반적인 사람들의 각양각색의 모습이 그려져 있죠. 그는 뭔가를 잃어버린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리고 싶었던 듯 하지만 저는 이 작품집에서 메세지보다 분위기에 흠뻑 매료되었답니다. 밝고 희망적인 분위기는 아니었지만 어째서인지 저는 한 편 한 편의 이야기를 읽는 동안 알퐁스 도데의 작품 <별>이 떠올랐어요. 이 [시골 생활 풍경]은 '서정미'로 정리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작가는 가공의 마을 텔일란을 배경으로 마을 사람들의 평온한 삶 뒤에 숨겨진 비밀과 사랑, 쓸쓸함, 균열 등을 안정되고 침착하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번 이야기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한 누군가는 또 다른 어딘가에서 주변인물로 그려지며 하나의 가공된 세상을 이루고 있지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기보다 독립적 개체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여기에 굳이 해석을 더해보자면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삶의 고민, 사랑, 갈등은 온전히 자신만의 것이며 그것을 극복하고 살아가야 하는 것은 결국 혼자만의 과제라는 메세지를 전달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합니다.

 

총 여덟 편의 에피소드입니다. 누군가는 낯선 이의 방문을 받고, 누군가는 오기로 약속한 조카의 당도가 늦어짐을 기다리죠. 어떤 이는 딸과 함께 노년을 보내고 또 어떤 이는 쪽지를 남기고 나가 돌아오지 않는 아내를 기다려요. 연상의 여인을 사랑하는 소년도 있고 십대 아들을 자살로 잃은 부부가 아무렇지 않게 살아내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가를 다루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제가 감탄한 점은 이 모든 이야기의 소재와 감정은 제각각이지만 '서정성'이 작품 전체에 퍼져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한 편의 미스터리 같은 이야기도 소년의 격정적인 짝사랑도 미스터리와 격정적인 사랑보다는 감미롭게 다가온다고 해야 할까요. 결론을 내지 않고 물 흐르듯 계속되는 듯한 분위기도 서정성을 한층 진하게 만들었던 것 같아요.

 

작가는 이 작품에 대해 '젊은 작가는 이런 책을 쓸 수 없을 겁니다' 말했다고 합니다. 그렇죠. 시간이 흘러야만 알게 되는 감정이 있고 오랜 세월을 통해 만들어지는 삶에 대한 통찰이라는 것도 있으니까요. 젊은 작가들이 드러내는 삶에 대한 격정, 로맨스, 활기참도 좋지만 노작가가 그려낸 은은하면서도 고요한 삶의 풍경도 괜찮다는 생각이 듭니다. 2010 지중해 문학상 외국문학상 수상작품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