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6인의 반란자들 - 노벨문학상 작가들과의 대화
사비 아옌 지음, 정창 옮김, 킴 만레사 사진 / 스테이지팩토리(테이스트팩토리)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난 책 읽는 것을 좋아한다. 주로(가 아니라 거의 대부분) 읽는 분야는 문학 쪽이지만, 더 나이 들어서 머리가 딱딱해지기 전에 어려운 책도 읽어봐야 한다는 강박증에 못내 인문이나 사회 쪽 책을 집어들기도 한다. 설사 읽다가 한 쪽으로 미뤄진 책을 못본 체하며 꿈나라로 떠날지라도. 그런데 문학 분야에서도 이 인문사회 쪽 책만큼이나 나를 당혹스럽게 만드는 작품들이 있으니, 그건 바로 노벨문학상 수상작들이다. '~상 수상'이라는 수식어에 그리 현혹되지 않는다 자부하면서도 매년 그 해의 수상작들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책 읽는 사람으로서는 어찌보면 당연한 관심인 걸까-라며 스스로를 위로하기도. 헌데 이 수상작들을 읽어내기란 나에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오기와 끈기로 두 눈을 시퍼렇게 뜨고 덤벼보기도 하지만 결국-이건 아닌 것 같아, 내 소중한 시간을 이해 되지 않는 책들을 읽으며 괴로워하기 싫다!-로 끝맺음하기 일쑤다.
이 책을 읽은 이유는 바로 그 때문이었다. 16인의 작가군 중에서도 내가 아는 이름은 손에 꼽을 정도였지만, 그런 건 전혀 중요하지 않았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그들의 인터뷰 내용을 읽으면서 내가 가지고 있는 사고의 폭을 넓혀가는 데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어나가면서 세운 계획은, 다른 책을 읽을 때의 목적과 다르지 않았다. 바로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깊이 들여다볼 기회를 얻는 것.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그들의 작품을 단순한 글자로만이 아닌 행간까지 읽어낼 수 있는 능력(?)을 얻고 싶었다. 어쨌든 노벨문학상이라는 건 참으로 매력적인 타이틀이니까.
이 책에 실린 16인의 작가들은 '거장'이라는 말이 그렇게 잘 어울릴 수 없을만큼 한 점의 사진에서조차 거대한 기운이 느껴진다. (요건 사진작가의 능력?) 개인이 처한 정치적 상황과 의견, 주력해서 표현하고자 하는 일상의 모습은 제각각이지만, 그들에게는 공통점도 있다. 문학을 통해 자신이 가진 상처를 치료하고, 더 큰 희망의 날들을 꿈꾼다는 것. 오로지 문학만을 추구하며 그 세계에서 안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가 직면한 문제들과 정면으로 맞부딪히면서 자신만의 이데아를 실천하기 위해 세상 속으로 뛰어들어가고 있었다.
아들의 장애로 인해 깊은 실의를 겪었지만 또한 그를 통해 더 깊은 문학세계를 추구할 수 있었던 오에 겐자부로, 터키 극우민족자들의 협박을 받으면서도 뛰어난 재치와 유머로 새로운 세계를 갈구하는 오르한 파묵, 인간에 대해서, 현실에 대해서 깊은 사유의 세계를 헤엄치는 도리스 레싱, 아파르트헤이트(인종분리정책)에 맞서며 에이즈와의 한판 싸움에 한창인 나딘 고디머, 지난날의 과오와 죄책감 속에서 미래를 보기를 마다하지 않는 귄터 그라스, 괴한의 습격을 받아 보지도 듣지도 못하는 몸이 되었지만 여전히(그 당시에) 활동을 멈추지 않았던 나기브 마푸즈, 홀로코스트를 겪고 살아남아 다시금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추구하는 임레 케르테스와 이미 흘러가버린 시간들을 유유히 바라보며 삶의 오묘함을 되새기고 있는 비슬라바 쉼보르스카까지. 그들의 삶은 그들이 노벨문학상 수상작가라는 타이틀이 없더라도 충분히 아름답고 경탄할만 하다.
남자와 여자는 서로 다른 세계에 살고 있어요. 내 책에서만이 아니라 실생활에서 그래요.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에요. 그것을 아니라고 거부하는 건 아주 잘못된 거예요. 우리는 각자가 외롭지 않기 위해서 함께 살기를 원하는 두 종류의 인간일 뿐이예요. 그게 바로 내가 보는 관점이고요.
구약을, 복음서를, 신약을, 코란을 읽다 보면 우리는 그것들이 똑같은 사람을, 똑같은 이야기를 다루고 있음을 알게 돼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다양한 이야기들처럼 말이에요. 유대교든, 그리스도교든, 이슬람교든, 그것들은 서로 다른 시기와 배경으로 인해 유일한 종교로 보일 뿐인데, 그런데도 그것들은 서로 질투를 하고 자기들만이 진짜로 유일하다고 확신하고 있어요.
-도리스 레싱
문학은 상업적인 것을 훨씬 뛰어넘는 가치들을 지니고 있어요. 문학은 인간이 의미하는 것을 심오하게 일깨워주는 도구이지, 다른 것을 얻기 위한 도구가 되어서는 안 돼요. 실제로 예술가는 세상을 구원하지 못했고, 수많은 예술가들이 그랬듯이 자신의 내적인 세계를 표현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구현하는 존재니까요.
-가오싱젠
우리는 반드시 얘기해야 해요. 치명적인 트라우마까지, 그 모든 것을. 지금까지 나로서는 할 수도 없었고 알 수도 없었지만, 기왕에 이렇게 된 것에 대해 무척 만족하고 있어요. 내가 겪었던 젊은 시절은 얘기하는 게 썩 유쾌하지 않았지만, 나는 그렇게 하기로 결심했어요. 우리 세대는 이 문제를 결코 뛰어넘을 수 없고, 어떤 종지부도 찍을 수 없을 거요. 그러나 나는 그것에 관해 계속해서 쓸 거라고 약속할 거요. 나는 계속해서 입을 열 것이고, 나의 적들은 참을 수밖에 없을 거요.
-귄터 그라스
누가 되었든지, 어떤 중요한 사안에 대해 하루 정도 생각할 시간을 갖지 않으면 제대로 된 논리에서 벗어날 수밖에 없어요. 이처럼 이 세상에는 즉답을 요구하는 자들이 많아요. 어리석은 대답이 나올 수밖에 없는데도 말이에요. 여전히 나는, 잠시만 생각하면 된다고 믿는 사람들 중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어요.
-비슬라바 쉼보르스카
그들이 살아온 몇 십년의 삶을 단지 몇 페이지의 인터뷰만으로 온전히 이해할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동안 나처럼 그들의 작품세계를 이해하지 못해 허둥거렸던 독자, 작가로서가 아니라 한 인간으로서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싶었던 사람들의 바람을 채워주는 의미있는 책이다. 흑백으로 처리된 사진들 때문인지, 그들의 모습이 허상이 아니라(당연한 말이지만) 실제였다는 것을 이제야 가슴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