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들이 사는 세상 1 ㅣ 노희경 드라마 대본집 1
노희경 지음 / 북로그컴퍼니 / 2009년 10월
평점 :
두 번째로 만나는 그녀의 대본집이다. [굿바이, 솔로]를 처음 읽을 때 대본집이라는 사실에 조금 생소함을 느꼈었는데, 읽어나가는 동안 마치 한 편의 드라마가 눈앞에 펼쳐지는 듯한 생생함에 푹 빠져버렸다. 어떻게 보면 소설보다 더 현실같고, 배우들의 목소리가 TV가 아닌 내 속에서 터져나오는 듯한 느낌이 참 좋다. 그런데 나는 왜 항상 뒷북인 건지. [굿바이, 솔로]는 내가 한창 공부에 빠져살았던 때라 드라마를 챙길 여유가 없었다 해도, [그들이 사는 세상]은 의도적으로(?) 보지 않았던 이 낯선 기억은 뭘까. 그 당시에 내가 이 드라마를 보지 않았던 이유를 아무리 생각해보려 해도 떠오르지 않는다. 어쩌면 드라마도 책도, 누군가가 접하기에 적당한 시기가 있는 것은 아닐까. 내가 이 대본집을 이제서야 내 책장에서 꺼내든 것처럼.
기본적으로는 드라마 감독인 주인공 지오와 준영의 사랑이 중심인 것처럼 보인다. 그들을 둘러싸고 드라마국장 민철과 배우 윤영, 감독 규호와 배우 해진, 조감독인 수경과 민희와 작가인 서우, 드라마국 CP 현섭과 배우 민숙과 수진, 그리고 그들의 가족들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하지만 좀 더 안쪽으로 파고들면 '핵'이라고 할 수 있는 중심부에는 바로 '드라마'가 있다. 그들을 웃게도, 울게도 만드는 드라마. 우리가 스위치를 켜고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며 쉽게 볼 수 있는 드라마가 그들에게는 피와 땀이라는 것을, 작가가 대본 한 줄 쓰는 일이 얼마나 뼈를 깎아내는 일인지를, 좋은 장면 하나 만들기까지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고생이 있었는지를 새삼 느끼게 한다. 드라마가 이렇게 만들어지는구나. 이렇게 드라마가 만들어졌구나.
노희경 작가가 결국 이야기하는 것은 사람과 사랑이다. 그 배경이 드라마를 만드는 드라마국일 뿐. 그들의 직업이 드라마를 만드는 사람들인 것일 뿐. [굿바이, 솔로]에서 사랑과 삶을 이야기했던 그녀는 [그들이 사는 세상]에서도 역시 그러하다. 남녀라는, 소수의 주인공을 내세우는 것이 아닌 모든 사람을 주인공으로 만드는 그녀의 시각이 참 좋다. 주변을 넓게 아우를 수 있는, 이해와 소통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진 글이라고 할까나. 준영과 지오의 삶과 사랑이 중요한 것처럼 민철과 윤영의 사랑도, 규호와 해진의 사랑도, 수경과 민희의 짝사랑도, 심지어 서우가 욕하며 울부짖어야 하는 그녀의 사랑도 늘 이 작품의 중심이 된다. 각자에게는 각자가 세상의 중심인 것처럼. 그래서 지오와 준영은 자기들만 잘난 척, 자기들의 사랑만 슬프고 애달픈 척 하지 않는다. 모두의 삶을 따뜻하게도, 서늘하게도 비춰주는 작품이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무섭기도 하다. 민철과 윤영의 사랑에 자꾸만 수긍하게 되는 것은, 노희경 작가의 글 탓인지, 아니면 원래부터 내 안에 '그래, 이런 것도 사랑이지'라고 인정하는 부분이 있었기 때문인지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 도리와 윤리상으로 따져보면 절대 용납될 수 없을 것 같은 사랑도, 노희경 작가의 글 안에서는 그것도 단순한, '사람사는 일'정도로만 그려진다. 그래, 그럴 수도 있지, 그러려니의 마음을 가지게 된다고 할까.
대본집이라서 그런지 소설보다 더, 한 명 한 명의 인생이 완벽하지 않음이 절실하게 느껴진다. 누구나 다 삶의 애환이 있고, 어느 순간에는 이기적인 마음을 갖기도 하고, 또 어느 때는 옹졸해지기도 하고, 세상의 모든 일을 다 품어줄 것처럼 넓은 마음을 갖기도 하는, 순간순간 바뀌는 사람의 마음이 잘 표현되어 있어서일까. 그래서 안심이 된다. 나만 유독 부족한 사람이 아님을 알게 되어서, 나만 유독 솔직하게 마음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이 아님을 알았기 때문에. 사랑과 슬픔, 인생의 단맛과 쓴맛을 간직한 그녀의 대본집이다. 앞으로 이런 멋진 이야기를 계속 써준다면, 앞으로는 그녀의 드라마를 위해 주저없이 TV앞을 지키고 있게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