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 아저씨 제르맹
마리 사빈 로제 지음, 이현희 옮김 / 비채 / 2011년 4월
평점 :
절판


마흔 다섯의 한 남자가 있습니다. 그의 이름은 제르맹. 어머니와 같은 집'마당'에 살고는 있지만 정확히 따지자면 그것도 아닌 생활을 이어가며, 특별히 하는 일도 없이 집과 술집, 여자친구집을 왔다갔다 하는 인생이죠. 게다가 그는 어른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교양과는 담을 쌓은, 아니, 교양은 커녕 글도 제대로 익히지 못했답니다. 덕분에 친구들 사이에서는 늘 웃음거리. 그런 그가 어느 날, 한 여자를 만납니다. 그리고 그녀와의 만남이 계속될수록 그동안 한 번도 맛보지 못한 따스함을 느끼죠. 그녀의 이름은 마르게리트. 우연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그녀, 마르게리트 할머니를 만난 후 제르맹의 삶은 우연이라는 기적을 달고 날아오르기 시작합니다.

 

네, 그래요. 이 책은 우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제르맹이 여자친구에 대해 느끼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고요. 제르맹의 인생에 여자친구 아네트가 없었다면 아마도 그의 인생은 지금보다 훨씬 어두컴컴했을테니까요. 아네트가 있어 그나마 '행복'을 알 수 있었던 그의 삶과 그의 머릿속에 환한 등불을 밝혀준 건 다름아닌 마르게리트였습니다. 그녀가 제르맹이 '문맹'이라는 것을, 그의 머릿속에는 기초적인 지식이라고 이름붙일 수 있는 것이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지는 모르겠어요. 다만 마르게리트는 제르맹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책'을 읽어줄 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제르맹이 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의 생각을 존중해주었을 뿐이에요. 그러나.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책을 읽어주고 제르맹의 생각을 들어준 이가 마르게리트가 아닌 다른 사람이었다면, 그래도 제르맹이 마르게리트를 '입양'할 생각을 했을까, 그렇게 마음을 터놓을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이요.

 

오늘 제가 좋아하는 한 사람이 나이가 들수록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해주었습니다. 저는 '나이가 들면 좋은 점에 대해 이야기해봐요'라고 말하면서 어떤 한 가지를 떠올렸어요.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데 '좋은 감정' 하나면 충분하다는 생각이요. 지금보다 좀 더 어렸을 때는 이런 저런 제약에 매달렸던 것 같아요. '어떻게 그럴 수가 있어! 그건 안돼!' 등등의 제약들이 지금은 '그럴 수도 있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일이야' 로 바뀐 거에요. 세상을 보는 눈이 좀 더 느슨해졌다고 할까요. 그리고 그 사람도 그런 이야기를 해주었답니다. 제르맹과 마르게리트의 만남도 그런 거라고 생각해요. 누군가에게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영혼의 교감이 그들에게는 일어났던 거죠. 바로 '제르맹'과 '마르게리트'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 아니었을까요. 제가 그 사람을 만난 것처럼요.

 

인생의 오묘함에 대해 때로 놀라곤 합니다. 이 사람이 아니었다면 몰랐을 일들, 저 사람이 아니었다면 생각하지 못했을 것들. 순간의 선택이 지금 이 자리에 저를 있게 했다고 생각해보면 인생이란, 서프라이즈 한 것이죠. 지금 주변을 한 번 둘러보세요. 마르게리트 같은 행복한 우연이 없는지, 혹시나 내가 놓치고 있는 소중한 인연은 없는지 말이에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