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행관람차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27
미나토 가나에 지음, 김선영 옮김 / 비채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 가정이 있습니다. 딸의 폭력적인 성향으로 힘들어하는 엔도 가족. 사립 고등학교 시험에 떨어지면서부터 나타난 딸의 막무가내 폭력 성향으로 엄마 마유미의 하루는 고됩니다. 언제 어디서의 말이 스위치가 되어 딸이 돌변할 지 매순간 조마조마해 하는데도, 그녀의 남편은 딸의 거친 언행에도 묵묵부답. 마유미의 가슴에는 하루하루 그늘이 쌓여갑니다. '이 아이가 정말 내가 키운 내 딸인가'. 한편 그들의 앞집에는 누가 봐도 완벽한 가정으로 보이는 다카하시 가족이 살고 있습니다. 의사인 아버지, 우아하고 아름다운 어머니, 의학부에 다니는 큰아들과 유명 사립고에 다니는 딸에 어머니의 아름다운 외모를 닮은 막내아들까지, 그야말로 판타스틱 패밀리가 따로 없습니다. 그리고. 그 동네의 모든 것을 보고 듣는 여자 고지마 사토코. 그녀의 아들은 멀리 외국에 며느리와 함께 나가 있습니다. 언젠가는 아들 부부가 돌아와 자신들과 함께 살아갈 것이라 생각하지만, 글쎄요, 어쩌면 희망사항으로 끝날 지도 모를 일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늘 예상치 못한 곳에서 터져 나오기 마련인가 봅니다. 늘 시끄러웠던 엔도 가족의 집이 아니라 세상 부러울 것 하나 없어 보이던 다카하시 가족 집에서 살인사건이 일어납니다. 머리에 심한 상처를 입고 사망한 아버지. 그리고 그 가해자로 경찰에 연행된 어머니. 범행이 일어난 시각에 편의점에서 마유미와 마주친 막내아들은 그 밤 이후 어디론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경찰은 막내아들이 아버지와 다투다 우발적으로 그를 죽이고 도주했으며, 어머니가 그 죄를 뒤집어쓰려 한다고 믿고 있어요. 그리고, 소설은 우리에게 물음을 던집니다. 가족이란 무엇인가? 인간의 본성은 과연 어떤 것인가? 하는.

 

가족해체의 위기는 언제나 도사리고 있었지만 점점 심각해져 가는 것이 현실입니다. 일본 뿐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근친살해와 가정폭력이 끊이지 않죠. 그만큼 우리의 관계들도 변화합니다. 닫힌 문 너머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지 알 수 없는 가장 편안한 상태로 보여지는 고립. 서로의 교류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에서 이웃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는 지 알 수 없죠. 가족들 서로의 마음도 헤아릴 수 없어지는 이 현상은, 현대사회의 수많은 모습 중 하나라고 치부하기에는 참 슬픈 현실입니다. 문제가 어디에 있는 지 장담할 수는 없지만 결국 자신들의 감정을 제대로 풀어낼 수 있는 시간이 부족했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모든 것을 가슴에 담아두기만 하고 작은 상처와 부담들이 쌓여 결국은 폭발할 때까지 그저 기를 쓰고 버티기만 했을 뿐인 거죠. 가족이라 모든 감정을 드러낼 수 있음에도 가족이기 때문에 쉽게 꺼낼 수 없었던 말들도 있으니까요.

 

작가는 가족문제 뿐만 아니라 인간의 순수한 본성을, 주변 인물들을 통해 보여줍니다. 다카하시 가족의 딸 히나코는 사건이 일어났던 날 밤 친구 아유미의 집에 묵고 있었어요. 사건이 일어난 후 아유미에게 여러 번 문자를 보내지만 그녀는 답하지 않습니다. 아니, 답할 수 없었다고 할까요. 피해자이기도 하지만 가해자이기도 한 살인자 집안과 얽힐수록 부담은 커졌을 것이고, 그리고 무서웠으니까요. 무슨 말을 해도 히나코가 상처받을 것 같다는 말로 자신의 진심을 포장하고 싶었던 것은 아니었을까요. 히나코의 이모와 이모부도 마찬가지입니다. 언니가 아니라 차라리 조카가 범인이기를 바라는 이모와 하루라도 빨리 히나코를 집에서 내보내고 싶어하는 이모부. 그리고 다카하시 가족의 집에 행해진 비방들은, 다카하시 가족을 상처입히는 것은 단순히 살인사건 하나가 아니라 그들을 바라보는 그 모든 시선임을 나타내죠.

 

작가의 최고 인기작인 [고백] 만큼 결말이 큰 임팩트가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단순히 범인이 누구냐를 떠나 각 가정의 모습을 보여주며 사람과 사람 사이, 가족의 정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줍니다. 정답은 없겠지만, 우리가 우리의 소중한 가족들을 보듬고 포기하지 않기 위해 무엇을 하면 좋을 지 생각은 해봐야 하니까요. 각각의 방에 들어가있지만 결국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관람차처럼, 어두울수록 안이 더 잘 보이는 야행관람차는 인간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는 작가의 메세지일지도 모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