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씨 비가
쑤퉁 지음, 허유영 옮김 / 비채 / 2011년 1월
평점 :
품절
음..뭐라 정의해야 할 지 알 수 없는 책을 읽었습니다. 쑤퉁의 [화씨비가]. '화씨의 슬픈 노래'라고 해석하면 될까요. 거칠어보이는 손이나 그 사이에서 유독 두드러져 보이는 붉은 실은 처연함마저 느끼게 해요. 어쩐지 먹먹해지는 가슴을 안고 책장을 열었는데 그 곳에서 벌어지는 '말(言)들의 향연'에 그만 화들짝 놀라고 말았답니다. 쑤퉁의 작품 중 읽어본 것은 [측천무후] 딱 하나인데, [측천무후]의 분위기는 절제와 중후, 였어요. 아무래도 등장하는 인물이 인물이니만큼 그런 분위기가 배어나오지 않을 수 없었겠지만 [화씨비가]의 분위기는 '이게 정말 같은 작가가 쓴 글이 맞나'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사뭇 달랐습니다.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시장통 속에서 느껴지는 사람들의 희노애락' 정도가 가장 비슷하다고 할까요. 시장이 주무대는 아니지만요.
이야기는 화진더우가 재판을 받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그의 이야기인즉슨, 다니던 직장의 창고에서 아내가 목을 매달아 죽고 그 사실을 알게 된 화진더우가 분노와 당황스러움을 이기지 못하고 그 곳에 불을 지른 것입니다. 결국 감옥에 들어간 그는 자신의 죄를 스스로 씻을 겸, 그리고 아내의 영혼이라도 만나 자살한 이유를 들어보고자 하는 마음에 그만 자살을 하고 맙니다. 그러니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것은 화진더우이지만, 살아있는 사람이 아니라 유령이랍니다. 만나고자 한 아내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채, 자신이 살던 집과 동네를 오가며 남은 가족들을 지켜보는 그의 가슴은 답답하기도 하고 찢어지기도 합니다. 남은 자식들이 곤경에 처해도 뭐하나 도와줄 수 없는 상황. 게다가 자식들은 자신들만 남겨두고 자살해버린 아버지를 무척 원망하는 상태. 누이가 자식들을 보살펴 주기는 하지만 생활은 어렵기만 합니다. 하나뿐인 아들의 변변찮은 행동, 처녀인 딸의 임신, 성장한 자식들의 고달픈 인생들이 화진더우의 시점에서 펼쳐집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죽어서라도 아내를 만나고자 했는데 아내는 코빼기도 보이지 않고, 자식들이 어려움에 처해도 도와줄 수도 없고, 누이에게 자식들을 키워줘서 고맙다는 말 한 마디도 제대로 전할 수 없으니 말이에요. 상황은 참 안타깝고 슬픈데 가끔 등장하는 장면들에 '풋' 터져나오는 웃음은 어찌할 수가 없었습니다. 여기서 웃어도 되나, 하는 마음이 들 정도였다니까요. 거기에 절제된 느낌의 문장을 보여주었던 [측천무후] 때와는 달리 틀어놓은 수돗물인양 속사포처럼 쏟아져 나오는 대사와 문장들이 참 인상적이었습니다. 마치 제 곁에 중국사람이 자리잡고 앉아서 그 대사들을 읊어주는 듯한 착각이 들 정도였어요. 조금 더 과장하면 한 마디도 할 수 없고 알아들을 수도 없는 중국어가 들리는 것 같기도 했습니다.
작가는 화진더우를 주인공으로 그의 입을 빌려 그의 가족사를 보여주고 있지만 거기에 해피엔딩이란 존재하지 않습니다. 날것 그대로의 현실, 절대 미화하지 않는 잔혹한 현실만이 자리잡고 있을 뿐이에요. 하나뿐인 아들 두후가 멋지게 성공하여 집안을 일으키는 것도 아니요, 딸들이 눈부신 신랑감을 만나 팔자를 고치는 따위의 이야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저 부모를 다 잃고 고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의, 가장 현실에 존재할만한 이야기들이 펼쳐집니다. 이것이 진실이다, 어쩌면 당연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면서도 한편으로는 씁쓸한 생각이 드는 것은 왜일까요. 마지막에 고모가 죽음을 맞이하면서 세월을 잡아당기고 싶은 듯 보이는 것이 그 애처로움을 더해주고 있습니다.
[측천무후]와는 상당히 다른 느낌의 작품이지만, 어쩐지 더 친근한 느낌이 드는 소설이기도 해요. 한 번은 중후하게, 한 번은 떠들썩하게 인생을 풀어냈는데 이번에 같은 시기에 출간된 [성북지대]는 어떤 느낌을 전달해 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