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실격 외 세계문학의 숲 5
다자이 오사무 지음, 양윤옥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품절


헥헥. 드디어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 을 읽었습니다. 생각보다 읽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어요. 그다지 두껍지 않은 분량임에도 처음 도전! 하던 그 마음을 유지하기가 참 힘든 책입니다, 이 작품. 세계문학은 늘 마음 한 켠에 약간의 부담을 가지고 첫 페이지를 펼치게 되는데, 일본어 전공자라 그런지 일본의 세계문학은 좀 수월한 편이었어요. 도전! 할 때도 그렇고 작품을 계속 읽어내려갈 때도요. 그런데 이 녀석은 작품의 분위기와 주인공에 대한 몰입이 조금 힘들었습니다. 숱한 자살미수를 거쳐 결국에는 자살에 성공한 작가의 작품이었기 때문일까요. 가늠할 수 없는 어둠의 늪으로 자꾸만 끌려들어가는 듯한 느낌에 마지막까지 읽어낸 저 자신에게 기특하다 해주고 싶을 정도입니다. 토닥토닥. 

작품은 알만한 분은 다 아시는 -나는 그 남자의 사진을 세 장, 본 적이 있다-로 시작됩니다. 어린 시절의 모습에서조차 어린아이다운 모습을 발견할 수 없는 남자. 유복하고 여유로운 환경에서 태어났지만 그는 인간관계를 두려워하는 사람입니다. 인간의 삶이라는 것을 도저히 알 수 없다는 그, 인간이 가진 감정에 대해 이해할 수 없었던 그는 '인간에 대한 마지막 구애'로 광대짓을 시작합니다. 자신의 마음과는 정반대로 타인의 기분을 맞추기 위해 살아가게 되는 삶. 누군가에게 미움받는 것을 두려워하고 실망시키고 싶지 않다는 마음 하나로 자신의 삶을 포기하는 것입니다. 그나마 정상적인 유년시절을 보낸 그의 인생은, 그러나 가족들과 떨어져 학창시절을 보내는 동안 철저히 파괴되고 이것이 정말 인간의 삶인가 싶을 정도의 타락의 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저는 작품을 읽을 때 묘사와 문장도 꼼꼼하게 보려고 노력하는 편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감정이입'이라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등장인물들의 감정에 얼마나 공감할 수 있고 당위성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조금 과장해서 말하자면 자신이 마치 등장인물이 된 것마냥 상황에 하나하나 반응하게 되는지요. 그런 감정이입이 없으면 등장인물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작품 전체도 이해할 수 없게 되는 것은 당연한 거겠죠. 저에게는 이 작품이 그랬어요. 아무리 유명하고 가치있는 세계문학이라고는 해도 저는 이 작품의 주인공이 어째서 이렇게 살아갈 수 밖에 없었는가, 그 점이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뭔가 해보고자 하는 의지, 어떻게든 풍요롭게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저 또한 충만하다고는 할 수 없겠습니다만-가 결여된 한 인간이, 그저 인간 세상의 이치를 잘 깨닫지 못하겠고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에 두려움을 느낀다는 이유만으로 이렇게까지 자신의 삶을 내던져버릴 수 있는가, 하는 점이요. 그것을 과연 젊은이의 순수-만으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일까요. 

어쩌면 제가 너무 좁은 범위 안에서만 이 작품을 바라보고 있는 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한 번 주인공의 감정에 물음표가 떠오르자 몰입하는 것 자체가 힘들었으니까요. 전 이번에는 다 읽은 것만으로 만족할래요. 다른 책들처럼, 이 작품도 나이를 먹고 시간이 지나면 또 다른 의미로 다가올 수도 있다는 기대를 눌러담아 책장에 고이 꽂아두겠습니다. 참, 이 작품 안에는 <인간실격> 외에도 <물고기비늘 옷>, <로마네스크>, <새잎 돋은 벚나무와 마술 휘파람>, <개 이야기>, <화폐> 도 같이 실려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