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실종자 ㅣ 오리하라 이치의 ○○자 시리즈
오리하라 이치 지음, 김선영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0년 9월
평점 :
품절
[도착의 론도]를 읽은 이후 오리하라 이치의 마법에 '기꺼이' 빠지고자 하는 마음이 생겨났다. 한밤, 그의 서술트릭에 뒷통수를 맞은 나는 멍~하게 다시 책장을 뒤적거릴 수밖에 없었고, 그 후로 '오리하라 이치=서술트릭의 대가'라는 공식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된다. [도착의 론도]를 읽은 후 '○○자' 시리즈 중 [행방불명자]를 덥석 읽었지만, 너무 크게 기대를 해서인지 생각보다 실망스러웠다. 그래서 계속 출간되는 [원죄자]와 이 [실종자]도 읽고 나서 실망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살짝 망설였던 것은 사실. [도착의 론도]에서 받은 충격만큼 크지는 않았지만 [행방불명자]보다는 한결 나은 작품인 듯 하다.
사회파 미스터리 중에서는 소년법을 다룬 작품에 좀 더 관심이 간다. 가해자가 미성년자라고 해서 그를 용서해야 하는가, 용서하지 못한다면 가해자는 한순간의 잘못된 선택으로 남은 인생을 어두운 그림자 밑에서 살아야 하나, 용서해야 한다면 피해자와 피해자 가족들의 응어리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실제로 우리 사회에서도 미성년자들의 범죄가 성인의 그것을 넘어선 경우가 많다. '재미로 그랬다, 단지 놀려준 것 뿐이다' 라고 아무렇지 않게 대답했다는 매스컴을 접하면 더욱 오싹하다. [실종자] 역시 그런 소년법을 기반으로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사이타마 현 구키 시. 한 달 전 실종된 여성의 시체가 발견되면서 백골의 시체 한 구가 모습을 드러낸다. 각각 '유다의 아들'과 '유다'라는 쪽지가 남겨진 채. 백골은 15년 전 실종된 여중생으로 밝혀지고 그 후 두 구의 백골이 더 발견되면서 사건은 미궁에 빠진다. 그런 와중에 두 명의 여성이 더 실종되고, 과거의 실종 사건에서 범인으로 의심받았던 용의자가 시체로 발견되기에 이른다. 그 마을에서 상해 사건을 일으키고 소년원에 수감되었던 '소년 A'. 범인을 밝히기 위해 르포라이터 다카미네 류이치로와 칸자키 유미코가 위험을 무릅쓰고 사건에 뛰어든다.
작품에 등장하는 '소년 A'는 우리가 방송에서 접하는 바로 그 'A'다. 누군가가 범죄를 저질렀을 경우 우리 사회는 가해자의 실명을 거론하지 않는다. 그 엄격함은 성인보다 미성년자의 경우 더 두드러지는데, 미성년자의 경우 잘못을 뉘우치고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는 미성년자인 가해자에게 터무니없는 환상을 품고 있는 것은 아닐까. '아직 어리니까, 아직 뭘 모르니까' 라는 인식으로 소년법은 그들에게 너그럽다. 물론 그 중에는 자신이 저지른 죄의 무게를 느끼고 평생을 속죄하며 훌륭한 인간으로 성장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요즘 접하는 미성년자 범죄의 양상을 보면, 그들이 과연 정말로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 아이일 뿐'이라는 생각은 전혀 들지 않는다. 그들이 타인에게 입힌 상처는 어떻게 치료받아야 할까.
소년법을 다룬 작품인만큼 역시나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었지만, 뒤로 갈수록 이야기의 긴장감은 떨어지는 편이다. 눈치가 빠른 사람이라면 트릭으로 설정한 '소년 A'와 '아버지가 아들에게 보내는 편지' 부분에 속아넘어가지 않고 범인을 알아챌 수 있다. 이야기가 조금 늘어지는 느낌이 드는 바람에 범인을 쉽게 추측하게 된다. 미스터리 소설을 읽을 때 내가 원하는 '뒷통수 얻어맞기'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해 다소 아쉬운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