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원히 사라지다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13
할런 코벤 지음, 최필원 옮김 / 비채 / 2014년 1월
평점 :
오호~할런 코벤의 작품은 [결백] 이후 두 번째 입니다만, 이 아찌 재미있는 분이십니다. 대화가 많아 듬성듬성 비는 곳이 많다고 해도 500페이지가 넘는 책인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었습니다. 이렇게 재미있는 책을 읽고 있으면 과연 글 쓰는 일이 그리 쉽지만은 않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죠. 탄탄한 스토리와 빈틈없는 구성력, 그리고 스릴러 소설에서 빠질 수 없는 반전까지. 그 모든 것을 생각하려면 얼마나 많은 머리카락이 빠질런지요. 과연! 혹시나 해서 책날개를 펼쳐보니 이 분, 머리카락이 없습니닷! 스스로 미신 건지, 아니면 타고난 대머리이신 건지는 잘 모르겠으나 제 생각에는 글을 쓰다 머리가 다 빠져버려서 '에라, 모르겠다. 그냥 밀어버리자' 결심한 확률이 더 높을 것 같습니다. 흠. 재미있는 소설을 쓰려면 역시 머리카락이 빠질 수도 있다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거였군요. 호홋.
이야기는 슬프게도 주인공 윌의 어머니의 죽음으로부터 시작됩니다. 12년 전 윌의 형 켄은 이웃이었던 줄리 밀러를 죽이고 도주한 혐의로 지금까지 FBI의 수배를 받고 있었는데요, 가족들은 현장에서 켄의 피가 발견되었다는 것을 이유로 켄도 죽음을 맞았을 거라 생각하고 있었답니다. 그런데 죽기 직전 윌의 어머니가 '네 형은 살아있다! '라는 결정적인 한 마디를 남깁니다. 그럴 리 없다고 생각하면서도 어머니의 유품에서 형의 사진을 발견한 윌. 그런 그의 곁에는 그의 아픈 첫사랑을 극복하게 해 준 사랑스런 여인 실러가 있습니다. 하지만 영원히 당신을 사랑하겠다는 쪽지 한 장만 남긴 채 갑자기 행방을 감춘 실러. 대체 자신의 주위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 건지 혼란스러운 와중에도 윌은 진실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단서를 좇아 사건 속으로 뛰어듭니다.
[결백] 을 읽으면서도 느꼈지만 할런 코벤 아찌는 사건을 해결하는 데 필요없는 군더더기를 쓰지 않는 점이 마음에 듭니다. 어떤 책들은 한 이야기를 또 하고 또 해서 '이제 그만 설명해도 된단 말야!' 버럭 소리를 지르고 싶게 만들기도 하거든요. 물론 그런 부분이 나오면 간단히 뛰어넘어버리지만 대체 왜 앞에서 쓴 말을 또 쓰는 걸까 궁금한 적이 많았답니다. 게다가 한 장면 한 장면이 끝날 때마다 툭툭 던지는 단서들이 희열을 느끼게 해준달까요. 맨 마지막 부분에서만 반전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공 윌이 단서를 하나씩 발견할 때마다 수없이 뒷통수치기를 해주십니다. 그래서 '이런 걸까, 저런 걸까' 하며 요런저런 상상을 하게 만들죠. 상상한 것 중 하나가 맞으면 또 즐겁고, 전혀 생각지도 못한 결말이라면 그것은 또 그것대로 즐겁지 아니하겠습니까.
요렇게 재미있는 책이었건만, 뭔가 허전한 느낌을 지울 수 없는 것은 군데군데 보이는 알쏭달쏭 번역 때문이려나요.
|
윌, 뭘 어쩌려는 거지?
칼리를 찾아야지.
그런 다음엔? 네가 그 애를 맡아 기르게?
모르겠어.
그걸 블록으로 쓰려는 거지?
너도 마찬가지잖아. p249
|
어떤 분이 저 '블록으로 쓰려는 거지'에 대한 뜻을 저에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아무리 몇 번을 읽어도 저 말이 대체 무엇을 뜻하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오! 제가 영어가 부족한 탓인가요? 아니 아무리 그래도 이 책은 한글판인데요! 저는 재미에 푹 빠져서 즐겁게 독서하는 데 이런 식으로 이해할 수 없는 문장이 나오면 김이 팍 샙니다. 이 문장에 얽매여서 다음 문장이 눈에 잘 들어오지 않게 되는 거죠.
저는 표지에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해요. 처음에는 표지가 무엇을 나타내고 싶어하는 지 알 수 없었는데 내용을 다 이해하고 나니 조금 이해가 됩니다. 제가 이해한 게 맞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어쨌든 [결백] 에 이어 두 번째로 집어든 이 책마저 만족스러우니 앞으로 출간될 그의 작품들이 더 기대되네요. 홍보문구를 잘 믿지 않는 편이지만 이번 경우에는 책 뒷편에 쓰인 많은 홍보문구를 그대로 믿으셔도 좋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