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남몽
황석영 지음 / 창비 / 2010년 6월
평점 :
책을 읽는 내내 나는 무척 당황스러웠다. '이 작가의 글이 이렇게 어려웠었나, 문체가 이랬었던가'하는 낯섦. 강남을 배경으로 그 동안 등한시했던 한국 현대사의 단면을 바라볼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감은 곧 당혹스러움으로 바뀌었고, 깊이 생각할 시간을 갖기는 커녕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마저 버거웠더랬다. 하지만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이 버거움은 나의 얕은 지식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그만큼 한 시대를 견뎌온 사람들의 인생이 굴곡져 있었기 때문은 아닐까, 그들이 우리가 순간에 이해할 수 없을 정도의 복잠함과 고난의 시간을 보내온 것은 아니었을까-하는.
작품은 삼풍백화점의 붕괴를 축으로 진행되는데, 삼풍백화점이 무너졌을 때, 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니면 중학생이었던 것 같다. 동네에 자주 가던 도서대여점이 있었는데 그 가게 주인 아주머니의 어머니가 무너진 백화점 밑에 깔려 생사조차 알 수 없다는 이야기를 들었고, 결국 시신도 찾지 못했다는 소식까지 전해들었다. 그리고 계속되는 구조의 나날들. 방송을 통해 건물의 잔해 속에서 한 여성이 속옷 차림으로 헬기에 의해 구조되던 모습은 아직까지 내 기억 속에 남아있다. 그 때도 방송에 등장한 그 여성을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저 여자는 손님이었을까 아니면 직원이었을까'를 생각한 듯 하다.
이야기는 김진 회장의 후처 박선녀로부터 시작된다. 시골에서 여상을 졸업하고 빼어난 외모로 인해 고급술집과 살롱의 마담을 거친 그녀. 같은 업계에 있던 사람의 소개로 김진 회장을 만나 그의 딸을 낳고 살아온 그녀가 무너진 백화점 밑에 묻혔다. 뒤를 이어 각 장 마다 김진 회장, 조직 폭력배 홍양태, 박선녀와 함께 백화점 잔해에 깔린 임정아, 그리고 그녀의 부모들이 강남, 그리고 한국의 자본주의 사회를 적나라하게 폭로하는 인물로 등장한다.
힘든 식민지 시기와 한국전쟁, 그 외 험난한 사건들을 거치면서 우리나라는 그야말로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왔다. 아픈 과거가 있었기 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이 더 앞만 보고 달려왔다는 느낌이 강하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마치 모래 위에 지은 성과 같은 위태로움도 분명히 존재하고 있었을 것이다. 삼풍백화점의 붕괴는 그 자체로 더없이 참혹한 재난이었지만, 더 깊이 파고 들어가보면 허망한 욕망과 부에 대한 경고였을지도 모를 일이다.
분명 대작가의 보기 드문 작품이겠으나, 나는 어쩐지 아쉬운 마음을 버리지 못하겠다. 오랜 시간에 걸쳐 해도 모자를 이야기들이 한 권에 빼곡하게 담겨 있는 듯한 느낌은 되려 작품에 완전히 몰입하지 못하게 했다. 뭔가 정리되지 않은 느낌, 숨가쁘게 이야기에 끌려가는 느낌이라고 할까. 한 나라의 모든 꿈이 집약되어 있는 곳 강남과 그 강남형성사를 되짚어 본 작가의 의도는 좋았으나 나에게는 조금 기대에 못미치는 작품이었던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