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민국 진실 교육을 말하다 - 21세기 대한민국의 비밀스런 현주소 ㅣ 대한민국 진실 시리즈 1
김동훈 지음 / 21세기북스 / 2010년 5월
평점 :
얼마 전 한 대학의 시간강사가 자살했다는 기사를 읽었다. 함께하지 못해서, 지켜주지 못해서 미안하다며 아내와 아이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전한 유서에는, 그 동안의 괴로움과 교수 채용비리, 논문 대필 등 대학의 비리가 고스란히 담겨 있었다. 우리가 교육을 말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것은 청소년 교육이다. 중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전인 교육, 참교사, 이런 것들. 그에 비해 대학이 안고 있는 병폐는 너무 가볍게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다. 대부분의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지향하는 목표점(?)은 대학진학이므로 결코 현실과 떨어질 수 없는 문제인데도 말이다. 한국사회의 교육의 문제를 대학과 연결지어 성토한다는 점에서 이 책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저자가 가장 먼저 주장하는 내용은 '숭문주의의 타파'다. 학문이 무슨 위대한 것이나 되는 것마냥 숭상하는 우리의 모습에서 벗어나자는 이야기인데 그것은 변화하는 시대에도 걸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순수하게 학문을 사랑하는 일을 제외하고, 맹목적이고 권력의 수단으로 이용되는 학문은 삶에서 큰 의미를 갖지 못한다. 그와 함께 대학의 권위가 무너져야 한다고 하면서 기여입학제에 대해 논의한다. 나는 기여입학제에 대해 상당히 말도 안 되는 제도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 실린 글을 보니 또 그게 그렇지가 않다. 신입사원을 뽑는 기업 입장에서는 기여입학제 출신인지 아닌 지 의심해야 하므로 그렇게 되다 보면 학벌보다는 능력 검증을 통해 채용과 승진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 실현 가능성이 있을 지는 잘 모르겠으나 다른 시각에서의 독특한 주장인 듯 하다.
<시험이라는 종교의 타파>에서는 세 명의 학생이 등장한다. 시험 이외에는 그 어느 것에도 관심이 없는 B양, 학교 공부가 취미이자 특기라고 이야기하는 D양, 시험에 따른 보상체계를 인생의 전부라 생각하는 F군. 우리 사회에서 교육은 곧 시험과 선별이라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다양한 경험을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전혀 주어지지 않은 채 대학입시만을 위해 채찍질 당하고 많은 것을 볼 수 있는 눈을 잃게 되는 10대 시절은 참 불운하다. 더 불운한 것은 그것이 불운한 것인지조차 모른다는 데 있다. 저자는, 시험은 순기능적인 면도 있지만 현재 대학입학이 떠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가학벌의 타파 뿐만 아니라 대학과 사회가 어떠한 인재관을 가져야 하는 지 고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정답만을 찾아 헤매는 공부가 아니라 스스로 무언가를 탐구하고 알아내기 위해 노력하는 공부. 그를 위해서 대학과 청소년 교육이 생각해야 할 것들이 많다.
교육에 관한 글을 접할 때는 항상 마음이 답답하고 복잡하다. 19세기 교실에서 20세기 교사가 21세기 학생들을 가르친다는 말은 굉장히 씁쓸한 유머다. 그럼에도 여전히 국영수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아이들의 시야를 넓혀줄 만한 과목들이 찬밥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은 과연 누구 책임일까. 한국사마저 선택과목으로 편재된 시점에서 한국전쟁이 언제 발발했는지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아이들을 볼 때면 안타깝다. 각 교육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의 노력은 더 말할 것도 없지만, 대학입학과 관련하여, 그리고 대학교육과 관련하여 전체적인 안목을 가진 리더 또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