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큐피드의 동생을 쏘았는가
데이비드 헌트 지음, 김승욱 옮김 / 작가정신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표지의 회색빛 때문이었을까, 아니면 주인공 케이가 명암만을 구분할 수 있는 색맹이었기 때문일까. 이 책은 한 편의 흑백영화처럼 내 머리속에 각인되어 있다. 건조함과 고독함, 그리 강하게 불지 않는 바람을 맞으며 쓸쓸하게 거리를 거니는 듯한 분위기. 샌프란시스코를 배경으로 일어난 살인사건을, 색맹의 여류 사진작가 케이가 조사하는 과정을 그린 이 작품은 일본 하드보일드 소설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하라 료의 [그리고 밤은 되살아난다] 의, 내가 좋아하는 사와자키 탐정의 모습과 케이가 겹쳐보이는 것은 왜였을까. 흘러넘치지 않는 감정을, 그나마도 건조한 문체로 그려낸 작품의 분위기가 무엇보다도 마음에 든다.
사진작가인 케이. 그녀는 [노출]이라는 작품집을 준비하고 있다. 그녀가 찍는 대상은 아름다운 남창 팀. 그녀는 그를 통해 뻔한 것이 아닌 좀 더 깊숙한 그들의 세계를 보여주고 싶어한다. 그를 만나기로 한 어느 날 저녁. 약속 장소에 팀은 나타나지 않고 다음 날 아침 쓰레기통에서 그의 머리가 발견된다. 흔히 일어나는 남창의 죽음이라 치부해버리려는 경찰에 맞서 수사를 시작한 케이는 이 사건이 과거 자신의 아버지가 관계했던 T사건과 연관이 있음을 알아낸다. 과거의 범인이 다시 범행을 시작한 것인가, 단순한 모방살인인가 혼란스러운 와중에 과거의 베일이 하나씩 벗겨지면서 팀이 간직했던 비밀 또한 조심스레 옷을 벗기 시작한다.
다른 작품들과 비교할 때 이 이야기 역시 그리 독특한 것처럼 보이지는 않는다. 누군가가 죽고 범인이 존재하고 그 내막을 파헤치기 위해 주인공이 움직이고. 결말은 생각했던 것보다 너무나 간단하게 매듭지어져, '우웅?'이라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이런 줄거리가 이 작품의 매력 포인트는 아니라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중요한 것은 분위기, 바로 그것이다. 모든 추리소설의 전개과정은 비슷비슷하다. 그 수많은 작품들 속에서 어떻게 도드라져 보이게 만들 수 있는가, 그것은 분위기가 결정하는 게 아닐까. 가보지 않은 샌프란시스코는 역시 가보지 못한 뉴욕의 그것만큼이나 황량했다. 인간의 비틀린 욕망, 외로움, 고독감, 그 안에서 느낄 수 있는 한 가닥의 온기. 지나치지 않게 절제된 감정 표현이 우선 일품이다.
어느 새 다시 여름, 추리와 스릴러의 계절이 왔다. 그 동안 읽은 이야기들도 꽤 된다는 생각에 이제 웬만한 책에는 질리겠다 싶었는데 이렇게 내 취향의 분위기 있는 작품이 나와주어 무척 기쁘다. 이런 작품들 뿐이라면 앞으로의 여름은 대환영. 미국의 권위있는 '람다 문학상'을 수상하기도 하고, <뉴욕타임스>의 올해의 주목할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는데 이번만큼은 그런 평가를 믿어봐도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