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에 사는 너 1
오드리 니페네거 지음, 나중길 옮김 / 살림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일러 있음-

아흥흥. 왜 이런 앓는 소리를 내는 지 궁금하시죠? 아마 이 책을 읽은 사람이라면 대부분, 저와 같은 심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뭐, 아니면 할 수 없구요. (오늘은 어째 좀 심기가 불편합니다;; ) 사실 이 두 권의 책을 다 읽은 것은 어젯밤입니다. 광분해서 바로 리뷰를 올리려다 책을 읽은 후의 그 분기(?)를 좀 여과해서 글을 쓰는 사람이 떠올라 저도 한 번 그렇게 해보기로 결심하고 바로 잠자리에 들었답니다. 그런데 리뷰를 적어야지, 라고 마음 먹고 이 책을 떠올리는 순간, 다시 분노의 소용돌이가 제 마음을 할퀴고 지나갔습니다. 

오드리 니페네거, [시간 여행자의 아내]로 유명한 바로 그 분이십니다. 괜찮다는 입소문이 굉장했는지, 예전과는 다른 표지로 다시 출간되기도 했었죠. 영화로도 만들어졌습니다만, 영화가 소설의 세세한 부분을 그리 잘 살리지는 못했을 거라는 미심쩍음과, 소설을 읽으면서 얻은 애틋함과 아련함을 영화로 망치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영화는 부러 보지 않았습니다. 그 작품의 전개가 다소 지루하다는 분도 계셨으나, 전개 과정에서 느낀 지루함을 모두 해소시킬 수 있을 거라 믿어 의심치 않을 정도로, 결말 부분은  그야말로 소위 '대박이다'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괜찮았거든요. 

그런 그녀의 다음 작품이니 어찌 호기심이 동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죽음은 또 다른 시작일 뿐, 그녀의 사랑은 끝나지 않는다! '라는 문구는 그런 저의 호기심과 기대에 불을 붙인 것과 다름 없었습니다. 그런 이야기였는데 말이죠..안타깝게도 이 작품은 [시간 여행자의 아내] 의 후광효과를 보기위해 출간된 것이라고 믿을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정말 아쉬운 작품이었습니다. 직접적으로 말씀드리자면 매우 재미가 없.었.습.니.다. 대물림된 쌍둥이 자매, 그녀들의 관계에 대해 지루할 정도로 질질 묘사하고, 죽은 후 유령이 된 쌍둥이 자매의 이모는 자신의 존재를 조카들과 연인에게 알리기 위해 분투하는 내용이 대부분입니다. 

게다가 이 캐릭터들 대체 뭡니까. 쌍둥이 동생 발렌티나는 매일 언니 줄리아로부터 벗어나고 싶다며 징징대고, 줄리아 역시 답답하기는 마찬가지. 이모의 연인이었던 남자 로버트는 발렌티나에게 마음을 빼앗겼다가 죽은 연인의 영혼을 알아챈 후 다시 제자리에,  강박증에 걸린 남자 마틴까지 '이 인간들은 대체 뭐하는 거야!'라고 분노의 함성이 버럭 나올 정도로 매력젹이지 못한 캐릭터들입니다. 이해할 수 없는 것은 대체 마틴은 왜 필요했느냐, 하는 것입니다. 작가 자신조차도 쌍둥이들과 관련된 로맨스가 부족하다고 느끼고 그 구멍을 메꾸기 위해 이 마틴을 이용한 걸까요? 강박증을 벗어나 사랑하는 아내를 찾아 암스테르담으로 간 것도 저에게는 그리 감동적이지 못했습니다만. 

그러나 정말 허망한 웃음이 나오게 만드는 것은 결말입니다. 사랑이야기요? 그녀의 사랑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요? 네, 그렇습니다. 죽은 이모의 사랑은 계속됩니다. 계속되기 위해 조카의 몸을 빼앗는걸요. 이건 감동적인 러브스토리가 아니라 어처구니 없는 호러소설이랍니다.  

저는 어지간해서는 작품에 대해 나쁜 소리를 잘 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나쁜 소리를 해도 부드럽게 돌려 말하는 사람이랍니다. 그런데 이 책은 도저히 참을 수가 없네요. 아마도 올해 최악의 소설 넘버원을 차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시간 여행자의 아내]를 좋아한 독자라면 이 책도 틀림없이 좋아할 것이다' 라니, 뉴욕타임스는 대체 어디서 이런 자신감이 솟은 걸까요. 떽! 한 가지 맞긴 맞습니다. 어떤 예상도 불허하는 놀라운 결말? 당연하죠. 어느 누가 그런 결말을 예측하겠습니까. 행복한 사랑이야기인 줄로만 알았는데요. 아웅. 뒷맛이 매우 나쁩니다. 다른 재미있는 책으로 이 찝찝함을 빨리 없애버려야겠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