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드 씨의 기묘한 저택 이타카
하지은 지음 / 디앤씨미디어(주)(D&C미디어) / 2010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느낌을 한 마디로 표현하라고 한다면 '만화 같은 책'이라고 하겠다. 중간중간 보이는 삽화 때문인지, 아니면 소설로는 쉽게 접할 수 없는 소재 때문인지 처음 책을 받아든 순간부터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좋아하는 레이스 달린 드레스를 입고 오싹한 모습으로, 하지만 처연하게 해골을 껴안고 있는 소녀는 이렇게 묻고 있는 듯 하다. '당신은 그에게 어떤 소원을 빌겠습니까' 라고. 그리고 그 소원이 이루어진다면 당신은 과연 진정으로 행복을 맛볼 수 있을 것 같냐고. 세상에는 공짜로 이루어지는 일이 별로 없음을 어렴풋하게 알고 있기에 누군가가 내 앞에 나타나 소원이 뭐냐고 묻는다고 해도 선뜻 대답할 수는 없을 것 같다. 하지만. 그래도 조금 욕심은 나지 않을까. 

롤랑 거리 6번가에는 7층짜리 저택이 있다. 저택의 주인인 보이드씨는 무엇을 먹는 지, 어떻게 생활하고 있는지 아무도 모르게 그 집의 7층에 기거하고 있고, 다른 사람들이 각자의 방에서 자신만의 인생을 살아가고 있다. 특히 3층에 살고 있는 라벨은 어딘가 오묘한 분위기의 청년으로 사람들의 소원을 들어준다. 아무도 모르게. 

1층 걸작의 방에는 박제사인 스타프씨가 산다. 동물 박제를 주로 하는 그의 집에서는 항상 이상한 냄새가 감돌고, 그 자신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그 일이 알려지기를 원하지 않지만 완성된 박제본을 내심 자랑스러워하기도 한다. 그런 그에게 찾아온 마라 공작. 마치 잠을 자는 듯한 소녀의 시체를 박제해달라는 요구를 거절하지 못하고 박제하는 스타프씨. 2층 시인의 방에는 가난한 시인 청년 단트가 살고 있다. 귀족들의 후원을 받아 얼른 이 지긋지긋한 가난에서 벗어나고 싶어하지만 자신에게 시를 들려달라며 접근해오는 사람은 매춘부 뿐이다. 

3층 연인의 방에는 아돌프와 마리 부부가 산다. 아름다운 외모로 많은 귀족부인들에게 개인 하인이 되어달라며 러브콜을 받는 아돌프이지만 그는 아내 마리를 '특별한 방법'으로 돌보는 데 집중할 뿐이다. 원래 귀족이었던 마리와 그녀의 하인이었던 아돌프의 애절하고 안타까우면서도 오싹한 러브스토리가 그들의 방을 에워싼다. 4층 방에 기거하고 있는 경찰 루서의 아버지. 최근 보이드씨의 저택에서 일어난 살인사건과 실종사건을 수사하고 있던 루서는 아버지와 자신, 그리고 자신의 오랜 친구를 둘러싼 비밀을 알아버렸다. 그런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아버지가 빈 특별한 소원. 

5층 방에는 오드리 부인이 산다. 매주 금요일 아침이면 라벨과 아침을 먹는 오드리 부인. 직감적으로 자신에게 죽음이 다가올 것을 알고 자식들의 집을 순례하지만 그녀의 가슴 속에 묻어둔 소원은 오직 단 한 가지다. 그리고 라벨에게 맨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소원을 빈 6층 방의 주스트씨. 그는 겉으로 보기에는 세련되고 멋있는 의사지만, 젊은 시절 아내의 병을 치료해주지 못했다는 죄책감에 마음 속이 병든, 불쌍하지만 끔찍한 사람이다. 그런 그가 라벨에게 빌었던 소원, 그리고 라벨을 위해 한 행동은 무엇일까. 

기묘하고도 독특한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사람은 3층 방의 라벨이다. 어떻게, 그리고 왜 그런 능력이 생긴 것인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그에게는 다른 사람의 소원을 들어줄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단, 빌 수 있는 소원은 한 가지. 그리고 소원을 빌었다고 해서 누구나 행복해지는 것은 아니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궁금해지는 것은 라벨과 박제사의 손에 의해 되살아난 소녀 루이제, 그리고 하얀 얼굴에 빨간 입술을 한 마라 공작, 그리고 이 모든 일이 일어난 배경이 되는 저택의 주인 보이드씨의 정체였다. 

7편 모두 환상동화의 분위기를 띄고 있다. 마치 다른 나라의 이야기를 읽는 듯 해서 나도 모르게 작가가 정말 우리나라 사람이 맞는지 몇 번이나 확인해야 할 정도였으니까. 만화라면 이 책의 분위기를 살리는 데 조금은 더 쉬웠을 것이다. 복장, 얼굴, 배경그림 등으로 내용의 부족함을 어느 정도 덮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작가는 약간의 삽화만 곁들였을 뿐, 순전히 자신의 능력으로 이 독특하면서도 아름다운, 안타까우면서도 슬픈 세상을 창조해냈다. 

우리나라에도 이런 오묘한 분위기의 작품을 쓸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 반갑다. 다만, 취향의 편중은 피하기 어려울 지도 모르겠다. 나야 이런 신기한, 이상한 이야기를 좋아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분명 있을 테니까. 하지만 작가가 자신만의 빛깔을 잃지 않고 앞으로도 이런 작품을 계속 써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그렇게 되면 언젠가 작가도 자신이 좋아하는 말 그대로 될 수 있지 않을까.

 

숨으려는 듯 혹은 더 도드라지려는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