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아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23
기 드 모파상 지음, 송덕호 옮김 / 민음사 / 200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벨아미] , 이 아이를 읽는 데 참으로 오랜 시간이 걸렸습니다, 에휴. 거의 6개월 정도 걸린 것 같은데요, 책의 두께는 그렇다쳐도 이 벨아미라는 녀석이 웬만큼 밉살스러워야 말이죠. 재미는 있지만 어쩐지 손이 잘 안가더라구요. 살짝 길게 기른 듯한 콧수염을 멋스럽게 옆으로 휘날리고 자못 심오한 눈빛으로 정면을 또렷하게 응시하고 있는 표지의 이 남자, 진중한 듯 하지만 속은 능구렁이 몇 마리는 들어가 있는 바람둥이입니다. 벨아미-미남자를 가리키는 이 프랑스어에 저는 고개를 갸우뚱했답니다. 시대를 막론하고, 사정이 무엇이고 사연이야 어떻든 바람둥이는 싫어요. 뭐 그 바람둥이도 그닥 제가 마음에 들지는 않겠지만 말이에요. 뒤루아가 바람둥이라는 점 하나만으로도 이 책을 읽는 데 계속 힘이 죽죽 빠졌어요. 작품 안에서 캐릭터가 갖는 힘은 굉장한 거니까요. 

퇴역군인인 조르주 뒤루아. 우연히 만난 친구 덕분에 신문사에 자리를 하나 얻었습니다. 글이라고는 전혀 쓸 줄 모르는 그이면서도, 앞으로의 생활이 윤택해지리라는 점 하나로 미래를 굉장히 낙관적으로 보는 이 남자. 하지만 곧 머리를 감싸쥐다가, 종이를 집어던지다가 친구 집으로 조언을 얻으러 갑니다. 매우 아리따운 여인이자 친구의 부인인 마들렌에게 글쓰는 수업을 살짝, 아주 조금 받은 뒤루아는 금방 이 여자에게 마음을 빼앗겨버리지만 감히 친구의 아내라 어쩌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와중에 사랑스러우며 여성적인 매력을 풀풀 풍기는 드 마렐 부인과 묘연의 관계를 갖게 되죠. 제가 보기에는 그다지 능력이 출중한 것처럼 보이지 않는 뒤루아이지만 어찌된 일인지 신문사에서 점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더니, 친구의 죽음으로 인해 아리따운 마들렌까지 차지하는 것입니다. 

입술에 침을 바르지도 않고 이 여자 저 여자에게 찬사만 바치던 뒤루아의 결말은, 그러나 제가 생각한 것처럼 패가망신이 아니었습니다. 돈과 명예, 권력을 추구하며 여자에게도 쉽게 빠져드는 이 남자는 결국 또 다른 여인과 함께 훨훨 날아갑니다. 그에게 있어 여자란 존재는 과연 무엇이었던 걸까요? 그 때 그 때의 사정에 따라 여자를 바꾸고, 전에는 사랑이었지만 지금은 아니라는 말로 쉽게 그녀들을 떠나는 그에게 사랑과 여자는 한낱 전리품에 지나지 않은 것처럼 보여집니다. 신분상승과 명예를 얻기 위한 그만의 수단인 것이죠. 

하지만 작품설명을 보면 그 시대의 프랑스에서 뒤루아와 같은 사람들은 보편적이었던 듯 보입니다. 당시 파리에서 자행됐던 문란한 성도덕과 귀부인들의 자유분방한 사고방식이 꽤 객관적으로 그려져 있거든요. 어쩌면 뒤루아 뿐만 아니라 그 시대 남자들에게 있어 출세란 사랑보다 소중한 것이 아니었을까요. 그렇다면, 바꿔 생각한다면 여자들도 그런 남자들을 이용했던 것은 아니었을지. 그런 남자들의 품안을 자유(?) 롭게 돌아다니며 남편에게 들키지만 않는다면 자유롭게 여러 남성들과 사랑을 나눴을지도 모를 일입니다. 뒤루아의 부인이 된 마들렌을 보며 그런 생각이 들더군요. 오히려 이용당하고 있는 것은 남자들 쪽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요. 

제 머릿속에 각인된 모파상의 이미지는 '어둡다'는 것입니다. 예전에 그가 쓴 단편모음집을 읽고 그 어두운 기운에 사로잡혀 몸이 아픈 적이 있어서요. 하지만 이 작품은 뒤루아라는 바람둥이로 인한 불쾌감만 전달했을 뿐, 유쾌하기도 하고 코웃음이 나기도 하는 등 조금 색다른 분위기를 띄고 있습니다. 저처럼 모파상의 어두운 날개를 싫어하시는 분들도 부담없이 읽으실 수 있을 겁니다. 한 사회의 모습을 객관적이면서도 풍자적으로 그리고 있는 [벨아미]. 어쩌면 이 '벨아미' 라는 칭호조차도 조롱이 섞인 건 아닌지 모르겠군요. 

아, <트와일라잇>의 주인공인 로버트 패틴슨이 현재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영화 <벨아미>를 찍고 있는 모양입니다. 제가 생각한 뒤루아의 모습은 약간 샤프한 타입인데, 로버트 패틴슨의 각진 얼굴이 과연 작품 속 뒤루아의 독특한 분위기를 잘 표현해낼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