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도시를 디자인하다 1
정재영 지음 / 풀빛 / 200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에 관해 얼마나 알고 있느냐고 묻는다면 나는 '조금'이라고 대답하겠다. 내가 알고 있는 철학 지식은 철학이기는 하지만 교육철학에 관계된 것이다. 서양철학과 동양철학, 공자와 맹자, 소크라테스와 아리스토텔레스, 그 외 많은 철학자들이 자신의 철학을 교육에 어떻게 적용했는가에 관한 지식이기는 하지만 대부분 그들 철학의 토대를 이루는 내용임에는 다름 없다. 어려웠던 것은 그들이 사용한 자신들만의 철학용어와 개념이었는데 그런 용어적 장벽이 철학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하지만 아무리 어려운 분야라고 해도 철학은 재미있는 학문이기도 하다. 허망한 것을 좇는 것이 아니라 우리 생활과 깊이 관련된 학문,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이 세상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해 행하는 사고의 정립과정이 바로 철학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의 저자 또한 '생각하는 힘으로서의 철학' '생각하는 과정으로서의 철학'이 철학의 본질에 가깝다고 보고 있는데 그러한 철학을 '동사로서의 철학'이라 명명한다. 

이 책의 구조적 특성을 잠깐 설명하고 넘어야겠다. 거의 모든 철학책이 고대에서 근대의 방향으로 변화한 철학 이야기를 다룬다면 이 책은 근대에서 중세, 고대로 넘어가는 독특한 구조를 지녔다. 또한 철학사상과 철학자에 알맞는 12곳의 도시를 선정하여 말 그대로 철학이 도시를 디자인했다는 점도 흥미롭다. 많은 사람들이 여행서를 즐겨읽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이 책은 철학에 보다 쉽게 다가가게 했다고 보아도 좋을 것 같다. 단 여행서로서 차지하는 비중이 많이 적다. 

만약 이 책이 단순히 철학자와 그들의 사상을 논한 책이었다면 나는 아마 이 두 권의 책을 끝까지 읽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들이 쉬웠다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근대의 빛과 그림자를 동시에 가지고 있는 비엔나 편에서 다룬 논리실증주의, 실재와 표상에 관한 이야기, 프랑스에서 태어났으나 네덜란드로 피신한 근세 철학의 아버지 데카르트, 그리고 칸트와 헤겔의 이야기들은 한 번 읽어서 모두 이해하기에는 내 앎의 깊이가 너무 얕다. 저자 나름대로는 쉽게 설명하려고 노력했지만 구체적인 사물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라 관념적인 이야기이기 때문에 읽으면서 몇 번이나 되새김을 해보곤 했다. 

가장 인상깊게 읽었던 부분은 2권의 맨 마지막 장 '고대로 가는 길-로마' 편과 1권의 '철학의 새 천년, 1968년에 시작되다-파리' 편이었다. 고대 철학 부분은 교육철학을 공부하면서도 가장 재미있게 공부한 부분이라 다시 보는 즐거움이 있었고,  파리에서 일어난 패러다임의 전환이 일어난 68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일어난 운동의 시초가 된다는 점에서 흥미로웠다. 두 도시에서 다뤄진 철학 이야기 모두 큰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것도 한몫한다. 

철학과 관련해서 이렇게 재미있고 신나게 책을 읽은 적은 처음인 것 같다. 물론 내용을 모두 이해했는가와는 별개의 이야기다. 내가 가보고 싶어하는 도시들, 그 도시들에 여전히 살아숨쉬는 철학자들과 그들의 사상들. 저자는 '지금', '여기', 그리고 '우리의 눈'을 강조하고 있다. 그의 의견에 동의하기도 하지만 철학이 살아숨쉬는 도시들을 통해 조금이나마 '예전' '거기' 그리고 '그들의 눈'으로 철학을 바라볼 수 있었던 시간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