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사랑하지 않는 자, 모두 유죄
노희경 지음 / 김영사on / 200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노희경 작가의 드라마를 챙겨보는 편은 아니지만, 내겐 기억에 남는 그녀의 작품 두 편이 있다.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별]과 [꽃보다 아름다워]가 그것인데 두 편 모두 가족에 대해 이야기한다는 특징이 있다. 나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사랑도 좋다. 삶도 좋다. 하지만 그녀가 이야기하는 가족의 모습은 가슴을 절절하게 만든다. 어떻게 하면 이런 이야기를 쓸 수 있는 것일까. 깊은 새벽 책을 읽으며 눈물을 흘리다가, 엄마와 함께 드라마를 보다가 문득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었다. 

그런 그녀의 산문집이라니, 꼭 읽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자들은 작품을 통해 작가와 소통하지만, 진정한 작가의 속마음을 알기란 쉽지 않다. 간간히 출간되는 이런 산문집이야말로 어쩌면 작가의 진실한 모습을 알 수 있는 기회의 창구가 아닐까. 편집 과정에서 얼마나 삭제되고 생략되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나마라도 엿볼 수 있다는 것. 나는 참 즐겁고 가슴 벅차다. 친구가 대사가 너무 좋다면서 꼭 보라고 일러주었던 드라마 <그들이 사는 세상>. 친구의 권유에도 노희경 작가가 그리는 사랑의 모습은 익숙치 않아서 남겨두었는데 그 작품에 등장한 대사를 이렇게 책으로나마 일부분 만날 수 있다는 것 또한 큰 즐거움이다. 

그녀는 이 책에서 삶, 사랑, 가족에 대해 이야기한다. 매번 사랑할 때마다 목숨을 걸었다는 한 여자, 오늘도 해맑게 웃으며 연애를 한다는 여자를 부러움의 눈길로 쳐다보는 작가는 마치 나의 모습 같다. 사랑은 나를 가슴 뛰게도 하지만 내게 사랑은 불안과 고민의 다른 이름이다. 나를 다 버리면 사랑이 내게 온다는 것을 나는 여전히 믿을 수 없다. 적어도 사랑이 끝났을 때 지킬 수 있을 정도의 내 자신은 남겨두어야 한다. 그렇게 믿었다. 그런데 왜 작가의 '사랑하지 않는 자는 모두 유죄다'라는 말에 죄책감을 느끼는 걸까. 작가가 말하는 '사랑하지 않는 자'란 바로 나처럼 모든 것을 버릴 수 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기 때문일까. 하지만 모든 것을 버리고 사랑만 선택하기에는, 난 너무 속물이다. 작가 또한 사랑만 선택할 수 없음을 알기에 자신에게 유죄선고를 내린 것은 아닐까. 

그런 작가와 나는 너무 닮았다. 사랑에 실패하고 자기연민에 빠져 한동안 슬퍼했던 일을 나는 이제서야 부끄럽게 생각한다.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것처럼, 그렇게 계절이 바뀌 듯 우리의 인생도 변화를 거듭하며 삶은 계속된다. 마냥 끝일 것만 같은 순간도 진정 끝은 아니다. 그 사실을 정확히 알고 있었음에도 나는 아직도 가끔은 슬퍼한다. 그의 마음이 변한 것을. 그리고 내 마음도 변해버린 것을. 

사랑 앞에서 나는 부끄러울 수 밖에 없기에 나는 그녀의 가족 이야기가 더 좋았다. 이미 세상을 떠나고 안 계신 부모님을 향해 내뱉는 부끄러운 고백들, 출생에 관해 뒤늦게 알게 된 진실, 힘들었지만 그럼에도 그들의 막내딸로 다시 살고 싶다는 소망들. 자식이 부모에 대해 갖는 감정이란 그런 것인가 싶었다. 가족들과 화목하게 지내고 평범한 삶을 살아온 나조차도 부모님을 앞에 대하면 차마 꺼내지 못할 말들이 조금쯤은 있으니. 

이 책을 읽고 나니 노희경 작가가 그저 작가가 아닌 한 명의 인간으로 다가오는 것 같아 기쁘다. 드라마를 통해 사랑과 가족, 희망을 전하는 사람. 비록 그녀는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달할지 매일 밤 머리를 감싸쥐고 괴로워하겠지만, 나는 이 사람이 있어 좋다. 

사랑이 믿음보다 눈물보다 먼저 요구하는 것, 그것은 대상에 대한 끊임없는 관찰과 예민함이다.-p7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