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슈샨보이
아사다 지로 지음, 오근영 옮김 / 북스캔(대교북스캔)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아사다 지로를 잘 모르는 사람도 많겠지만, 나에게 이 작가는 좋아하는 작가를 고르라는 질문에서 언제나 첫번째로 꼽히는 사람이다. 내가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책인 [칼에 지다] 역시 그의 작품이다. 한밤중에 책을 읽다 통곡하거나, 책장을 넘기기가 아까워 절절 맸던 사람이라면 내가 [칼에 지다]에 가지고 있는 감정을 상상하기가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물론 [철도원]이나 [파리로 가다], [프리즌 호텔]등 괜찮은 작품은 많고도 많다. 그의 무엇이 이토록 나를 잡아끄는 것일까. 그 무엇은 사람의 마음을 쓰다듬는 아련함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따뜻하고 정겨운 눈빛이다. [슈샨보이] 역시 그런 아사다 지로의 시각이 잘 녹아들어 있는 멋진 작품집이었다.
글을 잘 쓴다는 것은 무엇을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을까. 현란한 미사여구? 무슨무슨 상을 받았더라는 꼬리표? 나에게 이런 것들은 중요하지 않다. 책은 무언가를 배우고 얻기 위해서도 읽어야 하는 것이지만, 누군가와 소통하고 교감하고 싶을 때 읽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독자와의 교감. 작가에게 있어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과연 있을까. 그런 점에서 아사다 지로는 감히 훌륭한 작가라고 말할 수 있다. 그와 나는 항상 책을 통해 대화하고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든다. 그가 그리는 것은 사회적으로 성공했거나 대단한 사람들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하지만 그 보통 사람들의 이야기 속에 우리가 원하고 꿈꾸는 모든 것이 존재하고 있는 것만 같은 기분이 든다.
7편의 단편으로 채워진 이 책은 속이 꽉꽉 차 있다. 어느 작품 하나를 제쳐두고 '이 이야기가 가장 좋았어!'라고 말하기란 참으로 불가능하다. 유독 사람들의 상처를 심도있게 다룬 7가지 이야기 속의 주인공들은 작가의 손을 통해 상처에 딱지가 생기고 어느덧 떨어져나가는 시기를 맞는다. 도시 한복판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사토루, 어린 시절 유곽에 팔린 유녀, 남편의 폭력을 견디지 못하고 아들을 남겨둔 채 홀로 도망나온 어머니, 구두닦이 출신 사업가, 이루지 못할 사랑을 간직한 맹인 안마사, 전쟁에서 살아남은 병사, 이모할머니를 잃은 한 여의사의 이야기들. 이 이야기들은 또한 우리 마음 속의 상처를 어루만지며 위로해 주기도 한다. 사람마다 제각각 간직하고 있는 상처가 있다고, 그러니 아플만큼 다 아프고 나면 너에게도 분명 더 좋은 시간과 평화가 찾아올 거라고.
나 또한 마음 속에 간직하고 있는 상처가 있다. 이 상처가 언제쯤 아물지 아직은 장담할 수 없지만, 그래도 나는 아직 포기하고 싶지 않다. 내 앞에 다가올 밝은 미래를, 마음을 나눌 사람들과 함께 행복할 수 있다는 희망을. 이러한 느낌들을 나는 항상 아사다 지로에게서 받는다. 아프지만 그래도 나는 아직 행복하다. 고 말하고 싶다.
앞서 7편의 이야기 중 어느 하나가 좋다고 꼽을 수 없다고 했었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을 수 있어서 정말 다행이었다' 는 이 한 마디는 몇 번이라도 할 수 있다.
누구나 가슴 깊은 곳에 잊지 못할 기억 한 가지씩은 있다. 그리운 기억은 꺼내놓고 조금씩 곱씹으며 추억하면 되지만 아픈 기억은 차마 잊지도 못하고 마음의 빗장을 걸어 잠그고 꽁꽁 묻어둔 채 아파할 뿐이다. 작가 아사다 지로는 [슈샨보이]를 통해 이 아픈 기억의 상처를 어루만져주려고 작정한 듯 싶다. 이제 그만 잊어도 된다고, 이제 더는 아파하지 않아다 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