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명저
김소연 지음 / 삼양미디어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세계명작'은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도전' 해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전'이라 함은 그 '세계명작'이 시공을 초월해 여전히 많이 읽히고는 있으나, 그 문학들에 내포되어 있는 의미가 결코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적어도 나는 큰 마음을 먹어야 한다는 것을 뜻한다. 가까이하기에는 어렵고, 멀리하기에는 어쩐지 아쉬운 그런 '존재'라 할까. 내가 이렇게 '세계명작'에 '도전'이라는 거창한 말을 쓰게 된 것은 역시 학창시절의 경험에서 받은 영향이 크다. 당시 내가 손에 들었던 것은 [생의 한가운데]라는 루이제 린저의 작품이었다. 비교적 보편적으로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폭풍의 언덕]이나 [제인 에어]같은 브론테 자매들의 작품을 읽은 후 접한 [생의 한가운데]는 나에게 미지의 이야기로만 남았다. 그 후로 세계명작=어려운 작품이라는 인상이 깊게 남았고, 부끄럽지만 그 인상은 지금까지도 변하지 않고 있었다. 

그런 점에서 이 [상식으로 꼭 알아야 할 세계의 명저]가 나에게 시사하는 바는 크다. 작품을 쓰게 된 동기, 사회적 배경, 작품이 말하고자 하는 것 등등을 작가의 사진과 여러 가지 흥미로운 사진을 통해 쉽게 이야기한다. 그 동안 어려운 책이라고만 치부해왔던 세계명작들에 대한 호기심이 발동하고, 여기 소개된 책들을 한 권씩 읽어보고 싶다는 욕구가 치솟는다. 전부 45편의 작품을<인간 실존에 대한 진지한 물음, 사랑의 위대한 힘,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수수께끼, 주체적인 여성의 삶, 다른 차원을 통해 본 세상, 시간을 잊게 하는 모험, 세상을 비틀어 보는 재미,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 현실에 대항하는 인간의 의지, 잃어버린 세대의 이야기 >의 10개의 챕터로 나누어 소개한다. 

작품들 중에는 내가 여태까지 가지고 있던 이미지가 180도 바뀌어버린 책도 여럿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걸리버 여행기]이다. 걸리버의 여행 혹은 모험 이야기로만 알고 있었던 [걸리버 여행기]는 본래는 사회 비판 의식이 강한 작품으로 출간 당시 격렬한 비난을 받아 한동안 금서로 지정되기도 했다고 한다. 19세기 비평가들의 입김으로 내용의 일부가 각색되어 나온 것이, 나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접한 '아동물'이었던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이야기는 '소인국'편 뿐으로, 원래는 총 4부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인국, 거인국, 하늘을 나는 섬나라와 말나라 이야기가 있다니, 놀라울 따름이다. 일본의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의 <천공의 섬 라퓨타>가 바로 이 '하늘을 나는 섬나라, 라퓨타'를 모티브로 삼아 창작된 작품이라고 한다. 

[걸리버 여행기]뿐만 아니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저자 루이스 캐럴에 얽힌 비화, 추리소설 작가 앨러리 퀸의 이야기, [크리스마스 캐럴]로 대표되는 크리스마스 문학 등 갖가지 이야기가 세계의 명화와 작가들의 사진과 더불어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이 책을 읽고 나니 어렵게만 생각했던 세계명작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간 듯한 느낌이 든다. 오랫동안 미뤄두었던 숙제를 끝낸 것 같은 홀가분함마저 느껴진다. 이 책이 그 동안 세계명작에 거리감을 가지고 있었던 많은 사람들이 친근감을 느끼고 유명 작가들이 말하고자 했던 참뜻을 느끼고 생각하게 하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나는 아마 가까운 시일 내에 도서관의 세계명작 코너에서 한동안 머무르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