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가운 밤에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쿠니 가오리, 일본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만한, 한국에 일본문학 번창의 길을 갈고 닦은 선구자 중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나도 그녀를 [냉정과 열정 사이] 를 통해 알게 됐는데, 츠지 히토나리와 함께 쓴 그 책은 정말 좋았다. 하나의 사랑을 두 사람이 같이 써나갔던 그 이야기. 생각만해도 아련하다. 처음 읽은 작품으로 인해 기대치가 너무 높았는지 그 다음 접한 작품들은 만족보다 실망이 더 컸다. 글쎄, 사랑에 대한 일본인들의 정서는 우리와는 달리 끈끈함이랄지, 끈질김이랄지 그런 느낌이 부족한 것 같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내가 그들의 담백한 문체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마음을 너무 건드려 지독하게 앓게 하는 작품을 읽고 난 다음이면 어김없이 일본문학이 그리워진다. 그럴 때는 답답하고 복잡한 가슴을 살짝 뚫어주는 사이다 같은 담담하고 가벼운 문체가 그렇게 반가울 수가 없는 것이다. 

[차가운 밤에] 도 그런 마음으로 집어들었다. 깊이,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으면서 가볍게 독서를 즐기려는 마음으로. 에쿠니 가오리하면 연애소설이 곧바로 떠올랐기에 이 책도 사랑이야기를 모은 단편집일 줄 알았다.  그런데 그 동안 접해왔던 그녀의 작품들과는 사뭇 다르다. 마치 일본의 옛날 괴담을 듣는 듯한 몽환적인 분위기에, 내용들도 어떻게 이런 내용을 상상했을까 할 정도로 익숙치 않은 소재들로 가득하다. 변하지 않은 것이 있다면 담백한 그 문체랄까. 마치 하기 싫은 작문을 해 놓은 것처럼 이런저런 수식어 없이 간결하다. '나는 이렇게 여기까지 썼어, 느끼고 판단하는 것은 너희들의 몫이야'라고 말하는 듯이. 

대부분의 작품은 썩 만족스럽지 못했지만  그 중 몇 가지는 꽤 마음에 들었다. 죽은 개 듀크가 인간으로 변신하여 주인에게 작별인사를 하러 온다는 <듀크>, 자신의 전생을 일순 기억해내는  <언젠가, 아주 오래전>, 돌아가신 할머니가 손녀의 몸 속에 들어가있다가, 할아버지가 운명할 때에 함께 떠나가는<연인들> 은 어쩐지 아련하면서도 신비한 분위기를 풍겨 마치 꿈결같은 느낌을 갖게 한다.  낮보다는 밤에 책을 펼쳤을 때 그 느낌을 더 깊게 맛볼 수 있을 것이다. 

책 띠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다. -반짝반짝 빛나는 동화적 상상력과 그리움을 담아내는 감각적 문장- 흠. 한국어로 번역해서 감각적인 문장인지는 내가 판단할 수 없지만, 반짝반짝 빛나는 동화적 상상력이라니 그건 좀 과장된 듯 보인다. 에쿠니 문학의 근간이며, 동시에 정수를 보여주는 작품이라지만, 나에게서 그리 큰 공감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자신만의 세계를 갖고 있는 작가는 멋지지만, 그 세계를 보다 많은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나타내는 것이 작가에게 가장 중요한 일이 아닐까. 아니면 이 작가를 깊이 알기 위해 좀 더 지켜봐야 하는 것인지. 내 교감신경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에쿠니 여사, 내가 그대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니 부디 다음 작품은 낮이든 밤이든 읽는 시간에 관계없이 내가 좀 더 많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이기를 바라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