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만날 때까지
시바사키 토모카 지음, 김활란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일본소설을 읽을 때마다 우리와는 조금 다른 그들의 정서에 머릿속에 <?>가 나타날 때가 있다. 마음 속에 깊이 간직한,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는 감정의 주인이 우리라면, 쿨한 듯 하면서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끈질기다는 인상을 주는 것은 일본의 정서가 아닐까.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임) 특히 연애소설을 읽을 때면 담백하면서 간결한 문체에 등장인물들의 감정이 정말 연애인 건지, 아니면 단순한 순간의 감정인 건지 매우 혼란스럽다. 

 첫사랑. 첫사랑이 있든 없든, 단어 하나만으로도 사람의 마음이 달콤해진다는 것은 행복한 일이다 . 첫사랑이라는 단어를 입 안에서 굴려보면 영화 <러브레터>가 제일 먼저 생각난다. 나카야마 미호 주연, 이와이 슈운지 감독의 <러브레터>.  고2때 본 이 영화를 나는 지금도 잊지 못한다. 하얀 눈 밭에서 꼬옥 숨을 참고 있던 그녀와 아련한 첫사랑의 비밀을 알아버린 또 다른 그녀. 숨을 헉 하고 몰아쉬게 만든 마지막 그 장면. 그렇다. 첫사랑은 아련하고 달콤하면서도 마음 아픈, 인간의 마음 깊숙한 곳에 숨어 있는 그리움과도 같다. 

 [다시 만날 때까지] 는 이러한 첫사랑을 주제로 한다. 수학여행 마지막 밤, 장난삼아 한 심리테스트의 정답으로 자신의 이름을 말한 같은 반 학생 나루미를 유마는 내내 마음에 두고 있었다. 6년 후 유마는 휴가를 내 동경에서 일하고 있는 나루미를 찾아간다. 하지만 나루미와 시간을 보내기는 커녕, 얼굴도 제대로 보지 못한 채 나루미를 스토킹하는 소녀 나기코와 동경을 여행하게 되고, 어느 덧 유마가 다시 돌아갈 날이 다가오는데..

 
<?> . 마지막 책장을 덮은 뒤 나에게 남은 것은 첫사랑의 안타까움과 아련한 느낌이 아니라 이 물음표였다. 내 마음을 온통 뒤흔들고, 설레임에 가득차게 했던 문구 [첫사랑, 그 순수함과 안타까운 엇갈림을 노래한 동화같은 소설] 은 좀 과대포장된 것이 아닌가 싶다. <러브레터>의 아련함과 슬프지만 아름다운 사랑은 온데간데 없다. 자신이 좋아했던 남자를 스토킹하는 소녀와 함께 동경을 여행하는 매우 쿨한(?) 여주인공과, 자신을 스토킹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가끔 집에 들이는, 내 상식으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그녀의 첫사랑과, 남자친구가 있으면서도 여전히 나루미를 스토킹하는 소녀만이 있을 뿐이다. 게다가 스토킹소녀가 이야기하는 의미심장한 이야기들을 내가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도 문제다.  내 정서가 그들과 맞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작가가 의도한 것을 내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인지. 혼란스럽기만 하다. 

 딱 하나 이해되는 것이 있다면 유마의 감정이다.


 말로 표현해버리면 줄곧 품어왔던 느낌은 그저 단순한 형태로 바뀌어버릴지도 모른다. 그러면 그저 고교시절의 수많은 추억 중의 하나로 남고 말 것이다.
아마도 나루미에 대한 감정이 그만큼 소중했기에 유마는 말로써 그 감정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었을 것이다. 자신의 마음을 모두 표현하기에는 단어가 부족했을 테니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 그것만이 이 책에서 나타내고 있는 가장 인간적인 감정이었다.

 

일상적인 삶의 모습이나, 주변의 풍경을 세밀하게 묘사한 점은 내가 실제로 그 곳에 있는 것 같은 느낌을 주었다는 점에서 높이 살만하다. 하지만. 나는 아무래도 일본의 연애소설과는 궁합이 잘 맞지 않는 모양이다. 쿨한 그녀들의 마음에 내 마음은 절대 공감할 수 없었으니까. 

 p.s

일본의 단어의 유래를 알게 되어 기뻤다!


에도시대는 무사와 상인이 각자의 마을(町)에 나누어 살았는데, 지명에서 이 한자를 '쵸'라고 읽는 곳은 상인 등이 사는 지역이고, 오카치마치(御徒町)와 같이 '마치'라고 읽는 곳은 무사가 사는 마을입니다. (p13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