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버 보이
팀 보울러 지음, 정해영 옮김 / 놀(다산북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처음으로 접한 성장소설은 [내 영혼이 가장 따뜻했던 날들]. 이 책은 작가의 자전적 성장소설이다. 이 책을 처음 읽었을 때 나는 아마도 평생 이 책을 잊을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할아버지에게 사랑받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언제나 나에게 깊은 슬픔과 동시에 부러움을 안겨준다. 나에게 있어 할아버지라는 존재는 한 마디로 설명할 수 없는 어려운 존재였으니까. 그런 면에서 [리버보이] 또한 [내 영혼이 가장 따뜻했던 날들]과 같은 느낌을 갖게 했다.
수영을 좋아하는 소녀 제스. 물 속에서만 자신의 존재가치를 깨달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명랑하고 똑똑한 소녀다. 그런 그녀에게 너무나 소중한 할아버지의 심장발작으로 인해 요양을 겸해 가족여행을 떠나게 된다. 장소는 할아버지의 고향. 어린 시절 가족을 화재로 다 잃어 등지고 떠난 고향으로, 할아버지는 마지막을 예감한 듯 그 곳으로 돌아가고 싶어한다.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래도 무엇인가를 찾고 싶다는 듯. 그리고 할아버지는 자신의 마지막 작품을 꼭 그 곳에서 완성하고 싶어한다. <리버보이>라 이름붙인 그 그림을..할아버지의 고향에 도착한 다음 날부터 제스는 강가에 서 있는 신비로운 소년을 발견한다. 신비로운 소년의 정체와 할아버지의 관계는..
작품은 커다란 물줄기를 따라가는 것 같다. 잔잔하면서도 조용하고, 큰 굴곡은 없지만 그 안에서 뛰어노는 단어들은 내 마음을 충분히 맑고, 따스하게 감싸주었다. 무엇보다 할아버지와 손녀의 애틋한 사랑은 부러움을 넘어 박수를 쳐 주고 싶을 만큼 가슴을 울렸다. 특히 할아버지의 건강이 악화되어 스스로 그림을 그릴 수 없게 되자, 제스가 할아버지의 손이 되어 대신 그림을 완성하는 부분은 엄숙하기까지 하다. 어린 소녀 제스가 할아버지에게 [다만 행복해주세요]라고 말하는 장면에서는 점점 성숙해 가는 제스의 모습에 뿌듯함과 안쓰러움이 느껴진다.
인생을 살다보면 소중한 것을 어쩔 수 없이 놓아주어야 할 때가 다가온다. 죽음은 탄생과 함께 모든 존재가 겪을 수 밖에 없는 숙명이라고 하지 않던가. 나 또한 죽음이라는 것에 그렇게 담담할 수는 없지만, 이제는 우리의 생활의 일부분이라는 것을 안다. 그리고 죽음은 어떻게 받아들이느냐에 따라 우리를 변화시킬 수도 있음을. [인생이란, 가장 슬픈 날 가장 행복하게 웃는 용기를 배우는 것]이라는 글귀에서 나는 아직도 나이만 먹었지 인생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음을 절감한다. .
이 책을 보는 동안 [ 인생은 탐구하면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가면서 탐구하는 것]이라는 양귀자님의 [모순]의 글귀가 생각났다. 너무 소심한 마음에 지금 누리고 있는 것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죽음이라는 정해진 일에 너무 겁먹어 사랑하는 사람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가장 슬픈 날 가장 행복하게 웃는 용기를 배우기 위해 내 삶의 순간순간, 모든 것을 느끼고 받아들일 수 있기를 다짐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