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
가쿠타 미쓰요 지음, 민경욱 옮김 / Media2.0(미디어 2.0)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어렸을 때부터 책은 내 가장 친한 친구였으며, 지금도 그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자칭타칭 밝은 성격임에도, 나의 내부에는 다른 사람으로부터 상처받기 싫어하고 복잡하게 섥히고 갈등과 분쟁이 일어나는 인간관계를  두려워하는 또 하나의 내가, 나만 아는 곳에 숨어 있다. 다른 사람을 마주 대할 때의 약간의 포장과 위선은 인간관계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장치다.  나의 진정한 모습을 온전히 받아줄 수 있는 사람은 극히 소수에 지나지 않으므로. 때문에 그러한 장치없이 스스럼없이 다가갈 수 있고, 나에게 어떤 해악을 끼치지 않는다는 점에서 책은 무척 소중한 존재다.  표지에서 의자에 앉아 햇빛을 받으며 책을 읽고 있는 소녀는, 바로 나다.

 가쿠타 미쓰요의 소설을 접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나오키 상을 수상한 작품 [죽이러 갑니다]는 익히 알고 있었지만, 제목이 너무나 자극적인 탓에 왠지 선뜻 손이 가지 않는 작가였다. 하지만 이 책은 제목부터가  내가 나의 분신이라 칭해 마지않는 <책>을 주제로 하고 있고, 띠지에 박힌 -모든 책에는 그 사람만을 위한 존재 이유가 있다-는 문구가 무척 마음에 들어 단번에 읽어버렸다.

이 책은 모두 9개의 단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헌책방에 팔아버린 책을 여행지에서 다시 찾게 되고, 그 곳에서 또 판 책을 또 다른 여행지에서 만나게 되는 이야기를 그린 <여행하는 책>, 여행지에서 병으로 앓아누워있을 때 읽은 책으로 책의 주인을 상상하는 <누군가>,  애인과 싸우고 홀로 떠난 여행지에서 발견하게 된 편지에 대한 이야기 <편지>,  동거하던 애인과 헤어지고 이사를 하기 위해 책장을 정리하면서 그려지는 <그와 나의 책장>,  책이 불행의 편지처럼 그려지는 <불행의 씨앗> , 전설의 책을 찾아헤매는 이야기 <서랍 속>,  작가가 된 주인공이 어린시절 추억의 책방에서 책을 훔친 사실을 사죄하러 가는 <미쓰자와 서점>, 병상에 누운 할머니를 위해 오래된 책을 찾아헤매는 <찾아야 하는 것>, 밸런타인데이에 초콜릿 대신 소중한 책을 선물하는 <첫 밸런타인데이>까지.

처음에는 좀 밋밋하다는 생각이 들지만, 금방 책 속 이야기에 빨려든다. 이야기는 하나하나가 그들의 이야기이지만, 그 모두는 바로 나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많은 이야기들 속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불행의 씨앗>이었다. -이 낡고 난해하고 누구의 것인지 모르는 책은 세월이 지날수록 의미가 변한다. 슬픈 일을 한 번 경험하면 의미가 바뀌고, 새로운 사랑을 하면 다시 의미가 바뀌고, 미래에 대한 불안을 느끼면 또 의미가 바뀐다-는 부분은 어쩐지 책에 대한 내 마음을 그대로 표현한 것 같아서 마음이 벅찼다. 처음 읽을 때와 다시 읽을 때의 의미가 바뀌는 책.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은 책을 빌려서 보기도 하지만 사서 보는 것은 아닐까. 언젠가 그 책의 또 다른 의미를 발견하기 위해서 말이다.

<미쓰자와 서점>의 주인 할머니는 이렇게 말한다. -그저 펼치는 것만으로 어디든 데려가 주는 건 책밖에 없지 않니-라고.  그 한 마디로 책의 존재이유가 정의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어디로든 데려가주고 나를 자유롭게 해주고, 상처입은 마음을 달래준 것은 바로 언제나 나의 곁에 함께였던 <책>이었다. 

새삼 내 방에 있는 책들이 새롭게 보여진다. 지금까지 많은 책을 읽었고, 그 중에서 또 많은 책에 감동받았지만 과연 나에게 있어 꼭 존재해야만 하는 책은 무엇일까. 이 책이 있어서 내가 좋았다고, 소중한 사람에게 꼭 선물해주고 싶다고 생각하게 만든 책. 오늘밤은 책장을 모두 뒤져서 그런 책을 한 번 찾아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