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신의 가정은 평안하신가요?]
국내 장르소설 작가 중 어느 정도 믿고 읽는 작가 중 한 명이 정해연 작가인데요, 이번 소설은 '집, 가족'을 소재로 한 미스터리라고 해서 특히 관심이 갔습니다.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아이나 이혼의 과정을 소재로 방송하기도 하는 요즘, 과연 미스터리 속에서 가족은 어떻게 그려질지 궁금했어요. 아무래도 매운 맛이리라 생각했는데, 실린 세 작품 모두 나름 매운 맛이기도 하고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첫 작품인 <반려, 너>는 독자에게 말을 거는 방식으로 진행되는 이야기입니다. 작곡가로서 강아지 호두를 키우고 있는 한 남자가 먼저 등장해요. 공원으로 호두와 산책을 나간 남자, 윤치훈은, 호두가 어떤 여성의 발목을 물어버리는 바람에 그녀와 인연을 맺게 되죠. 아름다운 그녀의 이름은 이정인. 두 사람은 서로에게 호감을 갖게 됩니다. 독서모임을 한다는 정인의 말을 듣고 자신도 참가하고 싶다고 하는 치훈. 이 정도면 명백한 관심의 표현이겠죠. 핑크빛 향기를 풍기던 두 사람의 분위기는, 그러나 치훈이 정인의 독서모임에 등장하면서부터 분위기가 180도 바뀌어 버립니다. 정말 깜짝 놀란 반전이었어요! 결말 부분에서 정인이 독자를 향해 던지는 질문이 있는데, 두 사람 사이에 벌어진 일에 정말 정인의 책임이 있을까, 싶었습니다. 작가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조건에 끌리는 요즘 세태를 꼬집고 싶었던 걸까요? 하지만 누구나 처음은 겉으로 보이는 매력에 끌리게 되는 거잖아요. 저는 정인의 잘못은 없다고 생각하지만 조금 더 경계했다면 어땠을까, 그런 생각은 들었습니다.
두 번째 작품인 <준구>는 1984년을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학원 강사인 준구가 심야의 지하철을 타고 귀가하고 있어요. 몇 명 타고 있지 않은 객실 안에서, 갑자기 한 남자가 구토와 함께 경련을 시작해요. 결국 남자는 사망하고, 준구는 경찰 조사의 참고인으로 진술한 뒤 집으로 돌아갑니다. 악몽은 그 때부터 시작이었어요. 사랑하는 딸 지혜가 잘 자고 있는지 확인하러 들어간 그 방안에서요. 이후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딸을 구하기 위한 아빠로서의 분투가 시작됩니다. 준구가 겪은 일 때문에 1985년 개통된 4호선 열차에는 머리나 팔을 내밀 수 없는 반 개 구조의 창이 설치됐다고 합니다. 흐흐. 과연 진실 혹은 거짓??!!
세 번째 작품인 <살(煞)>이 전체 제목에 가장 걸맞는 작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요. 스튜어디스로 누구보다 찬란하게 빛났던 딸 수영. 그런 그녀가 어느 날부터 자리보전을 시작합니다. 제대로 먹지도 못하고 잠도 못자는 상태에서 말라가기만 하는 딸을 안타까운 눈으로 지켜보는 선경에게, 한 남자가 말을 걸어요. 월하도령이라 불리는 그는 선경에게, 가족 중 한 사람이 수영에게 살을 날렸다고 합니다. 어떤 물건을 이용해서요. 결국 선경은 가족들을 의심하게 되죠. 한때 바람을 피웠던 남편을, 언니에게 열등감을 가지고 있었을 민영을. 그 과정에서 밝혀지는 가족들의 비밀은 참 무서워요. 그 비밀을 선경은 끝까지 가슴에 묻고 살아갈 수 있을까요? 과연 가족 중 수영에게 살을 날린 이는 누구였을까요?
가족이란 과연 무엇일까요. 어제도 첫째 아이에게 상처를 준 것 같아 괴로워하며 밤을 보낸 저는, 가족이라는 관계야말로 참으로 쉽지 않음을 절감합니다. 가족이라 남보다 더 큰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왜 그랬을까 자책하게 돼요. 작가님은 앞으로도 많은 가족의 이야기를 담을 예정이라고 하는데, 부디 그 안에서 나의 못난 모습은 발견하게 되지 않기를 바라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