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 따지는 변호사 - 이재훈 교수의 예술 속 법률 이야기
이재훈 지음 / 예미 / 2024년 12월
평점 :
** 네이버 독서카페 ‘책과 콩나무’를 통해 출판사 <예미> 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법률의 측면에서 바라보는 재미있는 그림 이야기]
이번에 대대적으로 집정리를 하면서 책장에도 많은 변화가 생겼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흐름에 머리를 맡길 수 있는 미스터리를 읽는 저를 보고, 첫째 아이가 자꾸 스릴러 장르에 관심을 가지더라고요. 잔인하게 표현된 제목을 읽기도 하고, 내용을 궁금해하기도 해서 안되겠다 싶었습니다! 어지간한 스릴러물은 기부하고, 정말 애정하는 미스터리와 스릴러 작품들은 친정으로 옮겼어요. 그런데 그런 추미스 다음으로 양이 많은 것이 고전과 미술 관련 책들이었습니다! 미술관련 책들에도 관심이 많아 신간이 나오면 항상 관심이 생기곤 했는데, 이번에 읽은 책은 ‘예숭 속 법률’ 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라 신선했습니다.
요하네스 베르메르의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와 관련된 이야기는 많은 분들이 들어보셨을 거예요. 전 이 그림을 소재로 한 영화와 책도 정말 좋아해서 모사된 작은 그림을 사기도 했는데요, 다른 책들이 그림과 관련된 배경이나 화가와 관련된 이야기, 혹은 그림 속 모델에 대한 이야기가 전부라면 이 책에서는 소녀가 하고 있는 귀걸이가 정말 진주가 귀금속인지 보석인지에 주목합니다. 액세서리에 관한 지식이 전무한 저로서는 과연 보석과 귀금속의 차이가 무엇인지 아리송 했어요. 귀금속은 ‘금, 백금 및 은으로 만들어진 제품’을 말하며 진주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진주는 보석인가-에 대해 작가는 ‘개별소비세법’까지 살펴보며 설명래주는데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실까요??!!
<빨래하는 여인들이 있는 아를의 랑글루아 다리>는 ‘아를’이라는 단어에서 연상되듯 빈센트 반 고흐의 작품입니다. 이번에도 작가는 강에서 빨래하는 것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을까를 생각하네요. 옛날에는 여인들이 강에서 빨래하는 것이 일상이었기에 큰 문제가 없을 것 같기도 하다가도, 요즘은 산의 계곡에서 빨래하는 것도 금지하므로 위법일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에 ‘물환경보전법’ ‘자연공원법’ 등을 함께 살펴보실 수 있어요.
일상생활, 지식재산, 아이들, 동물, 사건사고의 입장에서 들여다보는 다양한 그림들과 법률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이었습니다. 독특한 그림 관련 책을 만나보고 싶다면 이 책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