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 이야기 - 진귀한 그림, 사진과 함께 보는 상징의 재발견
잭 트레시더 지음, 김병화 옮김 / 도솔 / 2007년 7월
평점 :
품절


예전 일본에 갔을 때 내가 가장 혐오했던 것은 길거리를 활보하는 까마귀들이었다. 바깥에 내놓은 쓰레기봉투에 구멍이란 구멍은 다 내놓고, 탐욕스러운 식탐을 자랑하던 그들은 나에게 새가 아니라 괴물과도 같았다.  한국에서는 한 번 날면 사방 10m이내로 벼룩이 튄다던, 잊혀진 평화의 상징 비둘기를 혐오했건만,  까마귀는 그 색깔과 덩치, 그리고 괴이한 소리로 나를 괴롭혔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것은 나를 비롯한 한국학생들은 까마귀를 혐오하면서 요리조리 피해다녔으나, 일본 사람들은 전혀 아무렇지도 않은 듯 태연한 얼굴을 하고 다닌다는 점이었다. 워낙 감정을 겉으로 드러내지 않는 일본 사람들이니 그러려니 했지만, [상징이야기]에 의하면 까마귀는 그들에게 있어 충성과 가족간의 애정을 나타내는 상징이었다니 그럴만도 했다고 지금에서야 납득한다. 

[상징이야기]는 우리 생활 속에 숨어있는 모든 것에 대해 풀이하고 설명한다. 워낙 비밀, 추리등의 요소를 좋아하는 나에게 가끔 신문에서 보는 숨은 그림 찾기나, 같은 그림 중 서로 다른 곳을 찾아내는 게임은 정말 흥미진진한 소재였다. 그런 점에서 상징도 숨은 그림 찾기와 다를 바가 없다.  그 중에서도 내가 가장 관심을 갖고 읽은 것은 이집트에 관한 내용들과 종교에 관한 내용이었다.  

이집트의 오시리스는 정의의 상징으로 그는 신성한 권위와 죽은 이를 심판하는 힘의 상징으로 채찍과 갈고리를 들고 있다. 어렸을 때 내 상상의 나래를 활짝 펼치게 해 준 파라오의 머리에 있던 코브라는 적에게 타격을 가하는 왕권의 수호자를 상징한단다. 종교에서 뱀이 타락한 존재로 그려지는 것과는 정반대의 해석인 셈이다.  또한 언젠가 죽은 사람이 다시 이 세상에 돌아온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던 이집트인들은 미라를 만들었는데, 심장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여 미라에도 심장만은 남겨두었다고 한다. 

종교에 관한 내용에 유독 눈이 갔던 것은 아마도 내 종교와 연관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럼에도 종교적 무지는 엄청나서 [상징이야기]에 나타난 해석을 읽으며, 감탄할 수 밖에 없었다. 부활절에 달걀을 먹는 것도 으레 그러려니 생각했는데, 그 자체로 부활을 상징하며 성찬식과 관련된 의미를 일러준다고 한단다. 은 영혼의 음식이자 그리스도 본인의 몸으로 그리스도를 뜻하며, 포도주 신성함을 의미한다.

책의 목차는 내가 여기서 설명한 것과는 달리 동물, 조류, 무늬 등등 각각의 주제별로 나누어져 있다. 내용이 방대해서 여기에 모두 소개할 수 없다는 것이 안타깝지만,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컬러로 된 그림들은 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즐겁고, 약간은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부작용(?)이라고 한다면, 책을 덮은 다음 모든 사물을 의심하게 된다는 것. 저 그림에는 뭐가 숨겨져 있고, 이 동물은 뭘 의미하는 것인지 궁금해져 혼자서는 해결못할 호기심이 증폭되어 버린다는 것 정도. 

아이러니한 점은 내가 그토록 혐오했던 까마귀는 , 해 안의 세 다리를 가진 형태인 ' 삼족오'라는 이름으로 중국에서 황제를 의미했다는 것이다.  책을 읽을 때도 , 또 책을 덮은 뒤에도 각 사회와 문화에 따라 '상징'은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