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을 죽인 여자들
클라우디아 피녜이로 지음, 엄지영 옮김 / 푸른숲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이라는 존재, 종교라는 것에 우리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들]

우리는 가톨릭 신자였고, 지금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믿음을 확신하며 삶에서 가톨릭 신앙을 실천하고 있다.

p339-340

초등학교 때 친하게 지내던 친구가 있었습니다. 친구는 굉장히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어요. 친구가 교회를 다니고 있다는 것은 알았고, 저도 아주 아이였을 때 교회에 잠깐 다닌 적이 있어 크게 거부감이 없는 상황. 단지 그 친구와 어울려 다닐 때는 교회에는 다니지 않았고, 결혼 전부터 성당에 다니시다가 저와 동생을 낳고 잠시 종교생활을 쉬고 계시던 엄마의 권유로 성당에 다닐까 생각하던 그런 때였습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그 친구가 저에게 교회에 같이 다니기를 권하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웃으면서 거절했었는데 어느 순간 친구의 권유는 집요해지기 시작했고, 저는 차츰 그 친구를 피해다니기에 이르렀어요. 교회에 다니지 않으면 천국에 갈 수 없다, 하나님을 믿지 않으면 죽어서 지옥에 간다는 말을 하는 친구가 그렇게 무섭게 느껴질 수가 없었습니다. 결국 그 친구와 연락하지 않는 사이가 되었고, 저는 그 때부터 종교에 광신적으로 빠져있는 사람에 대해 좋은 이미지를 가지기가 힘들었어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히치콕이라 불리는 클라우디아 피녜이로의 [신을 죽인 여자들]은 종교적 광신으로 산산조각 난 소녀를 둘러싼 비밀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토막난 채 불에 탄 시신으로 발견된 아나 사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녀가 성폭력이라는 범죄에 휘말려 목숨을 잃은 것이라 생각하며 '아나는 이미 자신의 품 안에 죽어 있었다'고 말하는 아나의 친구 마르셀라의 증언을 묵살해버립니다. 마르셀라는 아나의 시신이 발견되기 전 성당에서 천사상에 깔리는 사고를 당해 새로 겪는 경험을 기억하지 못하는 선행성 기억상실증에 걸렸으니 그럴만도 했겠죠. 아나의 죽음을 잊고 살아가려는 사람들 사이에서 단 두 사람만이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범인의 존재가 밝혀지기를 기다리는 사람이 있었으니, 바로 아나의 아버지인 알프레도와 아나의 둘째 언니 리아입니다.

 

30년이라는 세월 동안 귀염둥이 막내딸을 죽인 범인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오래된 자료를 보고 또 보고, 선행성 기억상실증에 걸린 마르셀라와의 만남과 오래 전 사건을 담당했던 엘메르와 보낸 시간을 통해 마침내 범인을 확신한 아버지. 그 후 앓고 있던 지병이 악화되어 오래지 않아 세상을 떠난 알프레도는, 그의 첫째딸인 카르멘의 아들인 마테오에게 세 통의 편지를 남깁니다. 마지막 편지는 집을 떠난 리아와 마테오가 함께 읽기를 언급하면서요. 강압적인 어머니와 그런 어머니에게 끌려다니는 아버지 훌리안에게 회의를 느끼며 살아온 마테오는 훌쩍 리아를 찾아 떠나고, 리아는 아버지의 편지를 들고 자신을 찾아온 마테오와 마주하게 됩니다.

 

처음 이 책의 홍보문구를 읽었을 때만 해도 저는 이 작품이 단순히 아르헨티나 스릴러 소설인 줄 알았어요. 그래서 초반에 강조되면 전개되는 종교적 이야기에 어리둥절하며 거부감을 느꼈죠. 그러나 그 종교에 대한 이야기가 바로 작가의 초석이었습니다. 한 소녀의 죽음이 종교의 광기에 휘말려 어떻게 변질되어 가는지 낱낱이 보여주기 위함이었어요. 중반부터 범인의 정체를 눈치채기는 했지만 그 뒤에 도사리고 있는 인물의 뻔뻔함에 소름이 돋을 정도였습니다. 모든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피해자인 아나의 책임이다, 자신은 이렇게 되기를 원하지 않았다, 그 선택을 한 것은 전적으로 아나다-라고 억지를 쓰는 그들의 주장은 그들이 얼마나 비겁한 인간들인지 여실히 보여줄 뿐이었습니다.

 

각각의 등장인물들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전개시키면서 작품은 한층 그 깊이와 심오함을 더해갑니다. 진정으로 종교란 무엇인지, 종교적인 행동은 무엇인지, 종교라는 미명 하에 비인간적인 일이 얼마나 많이 자행되고 있을지, 종교를 믿지 않는 이와 믿는 이 중 과연 누가 더 대단한지 우열을 가릴 수 있는 것인지 등 온갖 생각들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어요. 어떤 종교를 믿는다고 해서 모두가 인간답게 살아가고 있는 뜻은 아니라는 걸 새삼 깨달았다고 할까요.

 

저는 아이를 낳은 후로 성당에 다니지 않고 있습니다. 평일은 직장에 다니고 휴일은 아이들과 활동하는 나날이 이어지면서 어느새 종교를 소홀하게 여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제가 올바르게 살지 못하고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오히려 누군가의 엄마로서 더 바른 모습으로 살아야겠다고 다짐했던, 다짐하고 있는 날들입니다. 언젠가는 또 종교에 의지하게 되는 날이 올 수도 있겠죠. 종교를 가지고 어떤 존재를 믿든, 무신론자로 살든 중요한 것은 자신에게 얼마나 당당할 수 있는 점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신을 죽인 여자들'이라는 제목은 매우 적절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사르다 가문의 세 여자 모두 어떤 의미에서는 모두 신을 죽인 셈이 되었으니까요.

 

**출판사 <푸른숲>으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