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과 망상 - 어느 인턴의 정신병동 이야기
무거 지음, 박미진 옮김 / 호루스의눈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배려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책]

 

똑똑하고 밝은 팡위치. 그의 병명은 해리성 정체감 장애입니다. 처음 그가 병원에 방문했을 때 어머니의 말도 그렇고, 의사들도 팡위치가 동생이자 주인격, 형인 팡위커가 보조 인격이라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어딘가 꺼림칙한 어머니의 태도, 팡위치가 남긴 일기 등을 통해 무언가 비밀이 있음을 감지한 인턴 무거입니다. 결국 밝혀진 진실 앞에서 두 아이를 키우는 저는 제 마음이 무너지는 기분이었어요. 엄마의 행복만을 바랐던 아이가 내린 선택 앞에, 결국 큰 사랑을 주는 것은 부모가 아니라 아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실감했습니다. 휴일에 아이들로 마음 상한 일이 있어 또 혼을 냈는데, 그게 정말 그렇게까지 혼낼 일이었나 자책하게 되네요.

 

대학원 시절 인턴으로 일하던 정신병원에서 만났던 환자들과의 일화를 바탕으로 쓴 소설 [악몽과 망상]에는 다중인격 뿐만 아니라 조울증, 미소우울증, 망상장애, 공포증, 애도장애, 강박증, 전환장애 등의 증상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정신적으로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고 그로 인해 치료를 받는 것도 낯설지 않은 모습이 된 요즘은 그렇다 쳐도 예전에는 이런 증상을 호소하거나 병원에 다닌다고 하면 나약한 사람이라는 낙인이 찍히기 마련이었잖아요. 그런 인식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은 세상 속에서 무거의 소설은 이 병은 누구나 앓을 수 있는 것이며 개인 혼자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점을 시사합니다.

정신질환이란 생물학적 질병처럼 타인과 완전히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으며, '미친 사람'만 치료해서는 해결되지 않는다. 증상은 타인의 영향으로 더 위중해질 수 있고 유동적이므로 정신질환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 놓고 보아야만 한다.

p59

저는 이 부분이 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정신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증상을 앓고 있는 사람 뿐만 아니라 가족 관계, 더 나아가서는 사회적으로 관계를 맺고 있는 모든 사람을 들여다봐야 한다는 것은 어쩌면 저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놓치고 있는 부분 아닐까요. 이상증상이라는 생각 때문에 공포심과 두려움을 가지고 바라보던 사람들에게 가졌던 저의 생각이 부끄러워졌습니다. 연극치료를 받고 있는 추페이는 중학교 때 학교 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제대로 토해내지 못했던 감정이 여태 그를 짓눌러와 결국 치료를 받아야 하는 지경에 이른 거예요. 조현병 같은 경우는 유전된다는 말을 듣기도 했는데 어린 시절의 트라우 때문에 발현되기도 한다는 것을 책을 통해 알았습니다. 현대인이 많이 앓고 있다는 스마일마스크증후군도 우울증의 일종이라고 하죠. 직장생활이나 타인과의 교류 때문에 일어나는 이 증후군을, 어떻게 한 사람의 일로만 치부할 수 있겠어요.

 

단순히 등장 인물들의 증상과 치료에 대해 나열한 것이 아니라 그들의 성장과정이나 배경을 이해하려고 하는 무거의 글에는 따스함이 깃들어 있습니다.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은 이들이 오히려 자신의 마음을 보살펴주었다는 말은 무척 감동이었어요.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갖춰야 하는 이런 직업이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는 더 필요해질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야기 자체만으로도 흥미로웠지만 인간을 표면적이 아니라 다각적인 측면에서 입체적으로 바라봐야 하는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었던 책입니다!

 

**출판사 <호루스의눈>으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