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무슈 파랑
기 드 모파상 지음, 송설아 옮김 / 허밍프레스 / 2022년 10월
평점 :

[짧지만 강렬한 네 편의 이야기]
어린 시절 기 드 모파상의 <목걸이>를 읽은 뒤로 그의 작품을 읽은 뒤에는 늘 기대를 하게 됩니다. 책을 좋아하는 독자로서는 그야말로 감사하고도 즐거운 기대인데요, 그의 글에는 미스터리물이 아닌데도 반전이 숨어 있고, 삶의 깊이를 맛보게 해주는 문장과 절묘한 묘사들이 보석처럼 반짝이고 있어요. 이번에 만난 [무슈 파랑]은 생각보다 책의 두께가 얇아 살짝 당황스러웠지만, 기 드 모파상다운 필력은 여전해서 짧다고 불평할 수도 없을 정도였습니다.
표제작인 <무슈 파랑> 이야기부터 해볼까요? 주인공인 파랑씨는 부유하지만 매우 선량하고 아내와 아이를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특히 아들인 조르주를 사랑하는 마음은 너무나 크고 깊죠. 하지만 아내인 앙리에트는 그런 파랑을 조롱하고 경멸합니다. 파랑의 행동과 말들이 자신을 짜증나게 한다며 그를 비난하는 앙리에트의 모습은 저에게 철없는 어린 아이처럼 보였어요. 그렇다면 그들의 아이, 조르주에 대한 책임감은 대체 어디로 가 버린 거죠??!! 닥쳐온 파국 앞에 아내는 파랑을 가장 상처줄 수 있는 말을 굳이 꺼내고, 그 말은 파랑의 남은 생애를 지배하게 되는 지경에 이르러요.
파랑의 남은 생애를 상상하면서 제 마음은 파랑과 같이 무너지는 느낌이었습니다. 그의 끝없는 고통과 처절한 분노에 물들지 않는 사람이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 정도였어요. 아들을 빼앗긴 아버지의 아픔은 그의 이름의 의미를 알게 되먼서 한층 깊어지는 듯 했는데요, 주인공에게 Parents라는 이름을 붙인 작가의 의도가 엿보이는 작품이었습니다. 마지막 부분은 통쾌함과 동시에 허무함 비슷한 감정이 느껴졌는데, 그 순간을 파랑은 상상하며 살아온 것일까요. 그의 삶이 한 없이 가엾게 여겨졌습니다.
다른 작품들도 흥미롭기는 마찬가지예요. <사랑>은 사냥터의 새를 통해 사랑의 의미를 재조명함과 동시에 섬세한 묘사가 돋보이는 이야기입니다. '바위가 쩍 갈라질 정도의 추위' 같은 표현이나 암컷의 곁을 떠나지 못하는 수컷의 모습에서 사랑의 본질을 그리는 표현이 무척 감탄스러웠습니다. <위송 부인의 장미 청년>과 <테오듈 사보의 고해성사>는 물질 앞에서 너무나 쉽게 무너지는 인간의 신념을 그리고 있어요. 두 작품 속에도 묘사는 훌륭하지만 무엇보다 그 풍자와 해학에 웃음이 나면서도 한편으로는 씁쓸함을 느꼈습니다.
짧은 이야기들이지만 그 깊이와 재미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특히 그동안 국내에서는 만나보지 못했던 작품들이었던만큼 더 뜻깊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편 한편 끝날 때마다 아쉬움을 금치 못했는데, -기 드 모파상 단편선 1-이라고 하는 걸 보아 분명 2도 있다는 뜻이겠죠! 분명 다음 작품들도 준비되어 있을 거라 믿으며 출간될 그 날을 기다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