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
황모과 지음 / 래빗홀 / 2023년 8월
평점 :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이제는 하나의 말을 해야 할 때]
2023년은 9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이 일어난 지 100년이 되는 해입니다. 1923년 9월 1일 리히터 규모 7.9의 위력을 지닌 지진이 일본 관동 지방을 강타한 후, 자연재해보다 더한 지옥도가 펼쳐지죠. 지진으로 입은 직접적인 피해는 말할 것도 없지만, 무엇보다 비극적인 것은 지진을 계기로 무차별적인 조선인 학살이 벌어졌다는 점입니다. 마치 지진 자체가 일어난 것이 조선인 탓인 것처럼. 조선인 학살의 직접적인 원인은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탔다',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라는 소문 때문이었다고 전해지며, 이는 경찰 등 공권력의 개입에 의해 퍼진 것이라 알려져 있습니다. 내부의 두려움을 외부인에게 집중해 폭력을 동원해 쏟아내며 일본인들이 일치단결하는 모습은, 이미 과거를 통틀어 여러 번 보여주고 있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황모과 작가님의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는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주기를 맞이하여 더욱 의미있게 다가오는 작품입니다. 아무 이유 없이 학살당한 사람들, 그 사라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작가님이 앞장서 들어주셨고, 이제는 우리 독자들에게 들려주고 계십니다. 이 책을 통해 아마도 많은 이들이 말 없는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게 될 겁니다. 설사 삶에 치여 그들의 목소리를 또 한 번 잊게 된다 해도, 한 번 들려온 그 목소리는 우리 마음 속 어딘가에 남아 분명 계속해서 울리고 있을 거라 믿어요.
관동대지진 이후 벌어진 잔혹한 학살 위에 작가님은 SF 장르를 도입해 민호와 다카야라는 인물을 덧입힙니다. 조선인 유족을 대표하는 민호와 달리, 다카야는 관동에서 그런 학살은 벌어지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단체의 후원을 받아 과거의 현장을 관찰하기 위해 투입되었어요. 싱크로놀로치 채널을 통해 과거로 갈 수 있게 된 민호는 할 수만 있다면 학살 피해를 조금이라도 막아보고 싶다고 생각하죠. 그런 민호의 바람과는 달리 역사는 쉽게 바뀌지 않고, 민호 또한 역사 속 한 명이 되어 비참한 죽음을 반복할 뿐이에요.
분명 역사는 변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민호의 개입으로 인해 당시 사람들이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해요. 민호의 목소리가 그들의 등을 떠밀고, 선량한 일본인들이 조선인 학살을 막아보려 움직이는 데 힘을 실어주죠. 선조가 히로시마 원폭 사고를 겪어 그 후유증으로 대를 이어 고통스러워했고 피해자이자 가해자였으나 피해자의 입장에서만 관동대지진을 바라보려 했던 다카야 또한 변화하기 시작합니다.
역사는 변하지 않겠지만 그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뀔 수 있지 않을까요. 말이 없다 해서 잔혹한 학살을 묻어버리려고만 하는 들리는 목소리에 저항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작가님은 우리가 말 없는 자들의 목소리를 듣기만 원한 것이 아니라, 모두 함께 이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앞으로의 우리는 하나의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듯 합니다. 학살과 혐오의 시간을 벗어나 손을 맞잡은 민호와 다카야처럼요.
**<래빗홀>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