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지, 개미지옥
모치즈키 료코 지음, 천감재 옮김 / 모모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가 들이미는 잔인한 현실 앞에 누구도 도망칠 수 없다!]

 

두 명의 여성이 총살당한 채 잔혹한 모습으로 발견됩니다. 두 명 모두 성매매를 생업으로 삼는 데다가 어린 자녀를 제대로 돌보지 않고 신경조차 쓰지 않았던 무정한 엄마였습니다. 성매매 여성 연쇄살인사건을 예감하게 하는 사건들이었지만, 보도 프로그램은 살해당한 여성들을 '꿈과 희망을 가지고 열심히 일하던 엄마들의 비극'으로 각색해 여론을 조성해요. 곧이어 전해지는 세 번째 희생자에 대한 예고장.

 

이 사건과 별개로 오래 전부터 프리랜서 기자 기베 미치코는 식풍공장 악성 클레임 사건을 취재하고 있었습니다. 이물질이 들어간 도시락 사진을 보내기도 하고, 익명의 여성을 납치한 후 구하고 싶다면 돈을 내라는 협박을 당하고 있던 공장장. 어느 날 그에게 '세 번재 희생자를 내기 싫으면 돈을 준비하라'는 협박문이 도착하고, 전혀 다른 사건이라 여겼던 두 사건이 '세 번재 희생자'라는 연결고리를 만들어냅니다. 오랜 시간 사건을 조사해온 기베 미치코는 사건의 이면에 다른 무엇이 있음을 직감하죠.

 

간단하고 읽기 쉬운 작품은 아닙니다. 사건의 중심부로 들어가기 전까지, 저는 이해하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어요. 왜 여성 살해사건과 공장장이 협박당하는 사건이 같이 병행되는 것인지, 분명 어디선가 접점이 발견되리라는 것은 알았지만 그 순간까지 더듬어가는 과정이 속도감있게 그려져 있지는 않거든요. 게다가 저의 심리적인 방어막이 한몫 하기도 했습니다. 성매매를 생업으로 하는 것에 거부감은 없습니다. 어쩌면 누군가는 정말 막다른 골목에서 그런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고, 생존의 한 방법으로 선택한 결정을 비난할 마음도 없고요. 제가 불쾌하게 여겼던 것은, 그런 삶의 방식을 고수하다가 태어난 아이들을 책임지지 않고 학대하거나 방임하는 그녀들의 태도였습니다.

 

엄마인 그녀들의 삶은 본인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고, 저는 냉정하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30분에 5천엔이면 딸을 남자와 단 둘이 있게 하고, 집에서 손님을 받아 남자가 돌아갈 때까지 아이가 밖에서 서성이게 하는 데다, 제대로 된 교육현장을 제공하지 못한 채 똑같은 삶을 되물림하는 엄마. 그런 지옥같은 환경 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니 동생이라도 탈출시키고 싶어했던 스dp오의 마음을 생각하면, 그의 가슴에 자리잡은 한없는 절망과 나락은 감히 짐작조차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더 하세가와 쓰바사에게 화가 났어요. 어째서 부족할 것 하나 없는 환경 안에 살고 있으면서 그것을 함부로 대했는지, 왜 만족하지 못하고 남을 이용해서 살아남거나 누군가를 무시하는 삶을 살고 있는 건지요. 사이코패스라는 단어만으로 하세가와 쓰바사를 단언하기에는 뭔가 부족합니다.

 

문장 하나하나, 기베 미치코의 한걸음 한걸음이 묵직합니다. 그녀가 사건을 따라가는 굽이굽이가 마치 지옥으로 향하는 길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독자에게 성급한 재미가 아니라, 누구나 알지만 모두가 못 본 척하고 살아가는 사회의 한 단면을 끄집어내 독자 앞에 적나라하게 들이밉니다. 여기에 대해 제가 무슨 말을 할 수 있겠어요. 제가 가지는 감상은 단순한 감상일 뿐, 지금도 존재하는 빈곤과 폭력의 되물림에 그 어떤 도움도 되지 못할 것을요. 그것이 저에게 오히려 자괴감을 느끼게 합니다.

 

작품만으로 이야기하자면, 경찰, 보도 프로그램, 기자인 기베 미치코가 등장하는 이 소설은 저널리스트로서의 기베 미치코의 매력을 충분히 맛볼 수 있게 해줍니다. 양극화와 빈곤이 초래하는 사회 문제를 낱낱이 파헤치고, 인간성이 어디까지 타락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작품 안에서 섣불리 정보를 누설하지도 않고, 진실을 알게 되었으나 그 진실의 가치를 스스로 가늠하는 캐릭터로 존재해요. 국내에는 2014년 [신의 손]이라는 작품으로 처음 선보였다는데 검색해보니 나오질 않네요. 앞으로 꾸준히 그녀를 만나게 되기를 기대해봅니다.

 

**출판사 <모모>로부터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