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소리 수확자 시리즈 3
닐 셔스터먼 지음, 이수현 옮김 / 열린책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지막 이야기까지 완벽한 최고의 SF]

 

드디어 장대한 <수확자> 시리즈가 막을 내렸습니다. 3권이자 마지막권인 [종소리]를 읽기 전부터 저의 관심은 악당 고더드가 과연 어떨 결말을 맞을 것인가, 선더헤드가 비밀리에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과연 무엇인가 하는 것이었어요. 인듀라가 가라앉은 원인을 수확자 루시퍼, 즉 로언의 탓으로 돌려 그를 전세계가 저주하는 범인으로 몰아간 고더드는 모든 대륙을 통합하여 자신의 지배 아래 둘 야망을 펼치고 있습니다. 누군가는 고더드의 발 아래 엎드리고, 누군가는 반기를 들면서 세상은 사망 시대 이후 찾아온 최대의 암흑기를 보내고 있었죠. 고더드의 손아귀 안으로 세상이 떨어진 그 날로부터 3년, 얼어붙었던 시크라와 로언의 심장이 다시 뛰기 시작합니다.

 

평범한 모든 이들이 불미자인 상황에서 오직 혼자만 선더헤드와 소통할 수 있게 된 그레이슨 톨리버. 그는 음파교 안에서 '종소리'로 불리며 예언을 하고, 사람들을 이끌어나갈 지도자로 성장합니다. 그의 말 하나하나가 신앙이 되어 음파교가 세력을 확장해나가지만, 선더헤드가 그레이슨을 '종소리'로 만든 이유는 그의 성정 때문이었어요. 많은 사람이 그의 발 앞에 무릎 꿇고 고개를 조아리지만 그레이슨은 절대 우쭐거리거나 거만해지지 않습니다. 그가 귀를 기울이는 오직 단 하나의 존재는 선더헤드. 과연 이 길이 어디로 통할지 그레이슨은 예측도 할 수 없지만, 그저 선더헤드가 하는 일이려니, 무슨 계획이 있겠거니 하는 이미지라고 할까요.

 

시트라가 수확자 아나스타샤로서 고더드의 과거 악행을 폭로하기 시작하고, 그 과거가 현재 선더헤드가 하는 일과 연관되어 있음이 드러나면서 모든 인물과 모든 상황이 하나의 점으로 귀결돼요. 작품 속 등장하는 악인이라 해도 조금은 연민을 자아내는 부분이 있기 마련인데, 어떻게 고더드는 처음부터 끝까지 이렇게 악할 수가 있나요. 그가 맞이한 최후는 너무나 당연한 것이었지만 제가 기대했던 강도에는 미치지 못한지라 그 점이 아쉬울 따름입니다.

 

로언과 시트라의 결말은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고, 음파교를 철저하게 믿었던 아스트리드가 자신의 운명을 겸허하게 받아들이는 장면에서는 저조차 그녀 앞에 무릎 꿇고 싶은 심정이었습니다. 사실 선더헤드가 이대로 폭주하지는 않을지, 공격성과 살의를 띠고 인류를 무차별적으로 살육하지는 않을지 걱정하는 마음이 살짝 있었는데, 이 선더헤드마저도 마지막에는 감동을 주네요. 인공지능의 긍정적인 예라고 한다면 바로 이 선더헤드가 아닐까 싶습니다.

 

길게 이야기하면 할수록 아직 작품을 읽지 않은 독자들에게 누가 될까 너무 염려스러워요. 한 가지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이 방대한 분량이 전혀 지루하지 않을 정도로 무척 재미있었다는 것!! 그 하나입니다. 유토피아의 파멸이자 새로운 세상의 시작을 알리는 [종소리]. 감히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너무나 완벽한 SF 라 칭송하고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